[신나는 공부]언·수·외 만점자 “이렇게 다 맞혔다”

  • Array
  • 입력 2010년 12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왼쪽부터 김동산 군 서울대 경영학과 합격, 김명수 군 연세대 치의예학과 합격, 김동준 군 서울대 경영학과 합격
왼쪽부터 김동산 군 서울대 경영학과 합격, 김명수 군 연세대 치의예학과 합격, 김동준 군 서울대 경영학과 합격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최상위권 학생이 영역별 만점을 받기 위해 극복해야 하는 단 한 문제, 그것은 △언어 ‘어휘·어법 복합형 문제’ △수리 ‘후반부 최고난도 문제’ △외국어 ‘빈칸추론문제’다. 2011학년도 수능의 영역별 만점자인 김동산(언어·서울 강서고), 김명수(수리 ‘가’형·서울 양정고), 김동준 군(외국어·서울 휘문고)의 만점 공부비법을 살펴보자.》
문제 속 어휘를 암기하라!

‘매일 언어영역 문제를 풀면서 문제풀이의 감을 잃지 말자.’ 기본실력을 이미 갖춘 언어영역 최상위권들의 일반적인 생각이다.

김동산 군도 고2 때까지는 이런 생각이었다. 기출문제, 문제집 등을 반복해 풀며 1등급을 유지해왔다. 오답개수는 한두 개였다. 김 군은 유독 반복해 틀리는 문제를 살펴봤다. 어휘·어법문제였다. 그는 2학년 말 ‘서울대 경영학과’로 목표를 정하면서부터 ‘언어 만점’을 달성하는 쪽으로 공부법을 바꿨다. 곧바로 어휘·어법 ‘암기’를 시작했다. 기출문제, 모의고사 문제에 나온 문제 중 어휘·어법문제에 집중했다.

“고3이 되면서 하루 언어영역 모의고사를 2, 3회 풀었어요. 이때 어휘문제는 꼭 표시해 뒀다가 A4용지에 별도로 적어뒀어요. 문맥상으로 언뜻 이해하고 넘어간 어휘라도 정확한 뜻을 모르는 어휘는 해설지나 사전을 샅샅이 뒤져가며 그 뜻을 기억했어요. A4용지에 10∼20개의 단어를 적어 틈틈이 외운 뒤 또 다른 종이에다 새로운 단어를 적어 외웠죠.”

하루에 꼭 한 개씩은 비문학 지문을 풀었다. 비문학 지문에는 어휘나 어법과 관련한 어려운 표현이 다수 등장하기 때문이었다. 비문학 지문을 익숙하게 접하다 보니 어휘·어법 지식이 절로 쌓였다는 것이 그의 설명. 김 군은 “시간 날 때마다 신문을 읽거나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시사용어를 공부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문제풀이방법을 친구와 공유하라!

수리 ‘가’형 만점을 받은 김명수 군은 ‘수리는 경험’이라고 생각한다.

“수능 수학은 결국 유형화할 수 있어요. 문제풀이 경험이 쌓이다 보면 어려운 문제도 단순화하고 풀이과정을 쉽게 만들 수 있죠.”

이른바 ‘문제풀이 최적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 문제풀이 최적화는 하나의 수학문제를 풀이할 여러 가지 접근법을 폭넓게 경험한 뒤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풀이법을 찾아가는 과정을 말한다.

“최상위권들은 혼자 공부하는 경향이 있어요. 아무리 많은 문제를 풀어도 자신이 주로 쓰는 접근법 한두 개만 ‘단골’로 사용하기 때문에 최고난도 문제를 단순화하고 최적화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아요.”

그는 학교친구와 문제풀이법을 공유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스터디그룹을 만들지는 않았지만 주로 함께 문제를 푸는 친구 6, 7명이 있었다. 혼자 풀었던 수학문제 중 어려웠거나 좋은 문제라는 생각이 들면 친구들에게 “문제를 풀어보라”고 권했다. 이후 친구의 풀이법을 자신의 것과 비교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그는 한 문제에 대해 서너 개의 풀이법을 비교할 수 있었다. 자신은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신선한 문제 접근법도 배웠다.

다음은 마지막 ‘최적화’ 단계. 한 문제에 대한 여러 가지 풀이법 중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풀이법을 골랐다. 그리곤 포스트잇이나 오답노트에 기록했다. 이렇게 최적화한 풀이법이 하루에 3, 4문제. 고3 초부터 시작한 이 공부법으로 수능 전까지 김 군은 500개가 넘는 문제의 최적화된 풀이법을 보유할 수 있었다. 김 군은 “한두 문제를 틀리는 최상위권은 문제 자체를 몰라서 풀지 못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면서 “시험 때 못 푼 문제도 나중에 보면 다 풀 수 있다. 결국 나한테 맞는 최적화된 풀이법을 가지고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만점 비법을 설명했다.

전문적 지문내용을 읽으면서 외워라!

김동준 군은 고1, 2 내내 외국어영역을 걱정한 적이 없다. 만점을 받거나 실수로 한 문제를 틀리는 수준. 일주일에 1, 2회 모의고사문제를 풀며 외국어영역의 감을 잃지 않는 정도로 공부해왔다.

그가 달라진 것은 수능 2개월 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최한 9월 모의고사를 본 이후다. 이 시험에서 그는 총 4문제를 틀려 91점을 받았다. 충격이었다. 대부분의 최상위권은 자신들이 고난도 문제를 틀린 이유가 ‘어휘력’이 달려서라고 생각한다. 외국어는 어휘를 알면 풀 수 있다고 확신하기 때문. 그래서 최상위권들은 만점을 받기 위해 단어를 먼저 외운다. 하지만 김 군은 달랐다. 그는 9월 모의고사에서 낯선 지문이 부쩍 늘어났다는 사실을 직감했다.

“단순히 어휘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했어요. 철학, 인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지문이 등장하면서 추상적인 답을 요구하는 지문이 늘어났죠. 무엇보다 배경지식이 중요하단 판단을 했어요.”

남은 2개월간 다양한 분야의 영어지문을 읽으며 배경지식을 넓히려고 노력했다. 우선 수능과 연계율이 높다는 교육방송(EBS) 문제집을 공략했다. 고난도 문제가 많이 수록된 300제와 파이널 모의고사가 대상이었다. 이때 문제를 맞히느냐 틀리느냐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등장하는 지문을 꼼꼼하고 깊게 정독하면서 지문에 담긴 전문적 배경지식을 습득하려고 했다.

틈틈이 영어소설과 시사이슈를 다루는 영문 잡지도 읽었다. 김 군은 “배경지식이 될 만한 전문용어가 나오면 한 문장씩 베껴 적어가면서 외웠다”면서 “배경지식도 쌓고 새로운 문장구조도 이해할 수 있어 일석이조였다”고 말했다.

이태윤 기자 wolf@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