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45분 지나서야 “지붕 뜯어도 좋다”

  • 입력 2008년 2월 12일 02시 57분


훼손 줄이려다 제대로 초기 대응못해 화키워

도면 못구해 진화 애로… 뒤늦게 구청서 확보

“구조 늦게 알려줘” “해체 불가능” 책임 공방

■ 문화재청-소방당국 5시간 우왕좌왕

관계당국의 주먹구구식 대처는 국보 1호 숭례문을 전소시킨 이번 화마를 돌이킬 수 없는 ‘인재(人災)’로 만들었다.

불길이 숭례문을 삼킨 5시간 동안 소방당국과 문화재청은 손발을 맞추지 못해 화를 키웠다.

▽우왕좌왕하다 끝난 진화작업=10일 오후 9시경 화재 발생 10여 분 만에 현장에 도착한 소방당국은 “국보가 훼손되지 않도록 신중하게 불을 꺼 달라”는 문화재청의 요청을 받았다. 이 때문에 소방당국은 지붕을 뜯어내지 못하고 기와 위로 물을 뿌리는 소극적인 진화에만 매달려 초기 진화에 실패했다.

여기에 소방당국은 발화지점 파악과 빠른 진화작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설계도면 확보에도 시간을 허비했다.

소방당국은 “현장에 도착한 직후 문화재청으로부터 도면을 받으려 했지만 협조를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숭례문 내부 도면은 화재 현장에서 4km 떨어진 서울 중구청에도 있었다. 결국 소방당국은 30분을 헤매고 나서야 중구청에서 도면을 받았다.

화재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문화재청도 신속한 진화를 막았다.

문화재청은 불이 난 지 45분이 지난 오후 9시 35분경이 돼서야 “화재 진압을 위해 남대문 일부를 파기해도 좋다”고 통보했다.

그러나 이때는 이미 지붕 위로 뿌린 물이 추운 날씨에 얼어붙으면서 기왓장이 미끄러워져 소방관이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결국 소방당국은 지붕을 뜯지 못하고 불이 난 지 72분이 지나서야 건물에 물이 스며들도록 진화하는 직접 살수를 했다.

또 뒤늦게 현장에 도착한 문화재청 직원들은 소방관들에게 숭례문의 화재 진화 방법조차 알려주지 않는 등 ‘강 건너 불구경’으로 일관했다.

소방당국과 문화재청은 한술 더 떠 11일에는 책임공방까지 벌였다.

소방당국은 “2층 지붕 전체를 철거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대전에서 출발한 문화재청 간부가 오후 11시 10분경에야 현장에 도착해 이마저 여의치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문화재청 측은 “지붕을 해체할 수 있는 장비가 없어 해체작업 자체가 불가능했다”며 “건축물 구조상 애초에 불을 끌 수가 없었다”고 반박했다.

▽방화 가능성 높아=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는 경찰은 11일 화재 현장에서 발견한 라이터와 사다리 2개가 방화에 사용된 범행 도구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정밀감식을 의뢰했다.

경찰은 방화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이날 사건 현장을 담은 폐쇄회로(CC)TV 화면을 분석했으나 방화 용의자 등을 찾는 데는 실패했다.

경찰은 문화재청과 서울시 중구청 등 관련 기관의 안전 관리와 감독이 부실했는지에 대해서도 수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또 야간과 새벽 시간 숭례문 경비를 맡고 있는 무인경비업체가 최근 변경됐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관할 구청 및 업체의 관리·감독 소홀 여부에 대해서도 수사를 벌이고 있다.

강혜승 기자 fineday@donga.com

신광영 기자 neo@donga.com

이세형 기자 turtle@donga.com


▲ 영상취재 : 신세기,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 영상취재 : 정영준,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