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동서남북/울산 건설플랜트 파업 지역경제 생각할 때

  • 입력 2005년 5월 25일 08시 10분


코멘트
26일로 꼭 70일을 맞는 울산 건설플랜트 노조의 파업사태가 해결보다는 되레 꼬이는 양상이어서 시민들의 걱정이 크다.

서울에서 3보1배 시위를 벌이다 23일 경찰에 연행된 노조원들은 국제포경위원회(IWC) 울산총회 개막일인 27일 민주노총과 함께 대규모 집회를 열기로 했다. 그것도 총회장에서 불과 1km 떨어진 울산역 광장에서다.

‘친환경 문화·관광도시 울산’을 세계에 알리기는커녕 자칫 ‘노사분규 도시’로 인식될 우려마저 없지 않다.

오늘의 사태는 왜 빚어졌을까.

먼저 노조의 과격성을 꼽는 사람이 많다. 파업 초기부터 도로 점거 등 과격시위를 벌여 온 노조는 17일 건설공사용 쇠 지주를 이용해 만든 특수수레로 전·의경 저지선을 뚫었다.

철사를 여러 겹 꼬아 만든 쇠 채찍을 휘두르고 헬멧과 방패가 부서진 경찰을 쇠파이프 등으로 폭행했다. 위험물이 많은 석유화학공단에서 화염병도 던졌다.

“식당과 화장실, 탈의실을 지어 달라”는 노조의 요구에 고개 끄덕이던 시민들도 과격행동에는 혀를 찼다.

사용자의 미온적인 자세도 비난 여론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들은 당초 “일용직인 노조원들과는 고용관계가 유지되지 않고 있다”며 협상을 외면했다. 노동부 확인 결과 12개 업체에서 고용관계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자 이번에는 “회사마다 경영여건이 다르다”며 개별협상을 요구했다. 반면 노조는 ‘일괄 협상’을 고집하고 있다.

법령의 허술함도 사태의 장기화에 한 몫을 했다. 현행 노동조합법에는 ‘일용공들도 노조를 설립할 수 있다’고만 규정돼 있을 뿐 사용자가 누구인지는 명확하게 밝혀놓지 않았다.

하지만 책임소재를 따지고 앉아 있기에는 국제행사도 그러려니와 시일이 너무 많이 흘렀다. 노사는 하루빨리 냉정을 되찾고 협상테이블에서 마주 앉아야 한다.

노동부와 울산시의 공정한 중재도 필요하다. 그것만이 노사정은 물론 지역 경제와 시민들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국제망신’을 피하는 길이다.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