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15세의 우수성’ 계속 살릴 교육 돼야

  • 입력 2004년 12월 8일 18시 26분


코멘트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고교 1학년)의 문제해결능력이 세계 최고이고 읽기, 수학, 과학은 세계 2∼4위로 나타났다. 우리아이들의 우수성과 의무교육 수준이 국제적 인정을 받았다는 점에서 자랑스럽다. 하지만 이렇게 뛰어난 한국 학생의 능력이 왜 그 이상 뻗어나가지 못하며 국가경쟁력 지수는 지난해보다 11계단이나 떨어진 29위에 지나지 않는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부국(富國)일수록 교육도 잘하지만 한국은 예외”라고 했다. 국민소득에 비해 그만큼 교육열과 투자가 높다는 해석이겠지만 찬사로만 받아들일 일은 아니다. 국가 인적자원의 잠재능력이 최상위라면 국가경제도 그 수준이어야 정상적이다. 즉 의무교육 이후의 고등교육이 제 역할을 못하기 때문에 상당한 인적자원이 국가발전에 기여하지 못한 채 사장(死藏)된다고 볼 수밖에 없다.

특히 상위 5%에 속하는 최상위권 학생들의 점수가 좋지 못한 것은 우려할 만하다. 나라의 미래를 이끌어갈 엘리트층이 그만큼 얇다는 의미인 까닭이다. 평준화에만 집착하는 획일적 고교교육, 세계 100위에도 끼지 못하는 대학교육은 엘리트 육성을 방기(放棄)하고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이 때문에 기업은 최고수준의 인재를 국내 아닌 해외에서 찾고 있는 현실이다.

정보기술, 지식기반산업으로 경제의 중심이 옮아가면서 ‘평등한 교육’만으로는 국가 미래를 걸 수 없는 세상이 됐다. 세계 최고 교육을 자랑하는 핀란드에서 보듯, 학교교육의 진정한 성공은 자율성과 교사의 전문성에 달려 있으며 이는 국가경쟁력과 직결된다. 보석 같은 15세 학생들의 능력이 빛을 잃지 않도록 우리 교육은 획기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