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시민연대 토론회]"산불지역 생태적 복원조림을"

  • 입력 2000년 5월 17일 19시 34분


동아일보와 ‘백두대간 새 생명 시민연대’는 17일 오후2시 서울 종로구 세종로 동아미디어센터에서 동해안 산불지역 생태계 복원에 관한 토론회를 갖고 강원 고성군 등 5개 시 군 산불피해지역의 생태적인 활용과 복원방안 등을 논의했다.

참가자들은 ‘획일적으로 심고 보는’ 조림이 아니라 ‘생태적으로 안정된’ 복원을 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지만 자연회복과 인공복원 중 어느 것에 중심을 두어야 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렸다.

산림청 조연환 사유림지원국장은 이번 산불로 인한 피해 규모는 산림피해면적이 23448ha,임목피해액은 606억3900만원이었으며 송이 표고버섯 장뇌 등의 단기소득 피해액도 32억5800만원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 조국장은 “홍수로 인한 산사태가 우려되는 지역은 금년 내에 응급복구를 실시하고 송이피해지역은 산주의 의견을 고려해 송이 복원 조림을 추진할 것”이라며 그러나 백두대간 주능선과 피해가 적어 회복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자연회복을 유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피해를 당한 마을과 경관지 등에는 경관조림을 시행하고 경제수 조림은 1,2년간 조사해 조림방법과 수종 등을 결정한 뒤 복구에 들어갈 것이라고 조국장은 덧붙였다.

환경부 이정주 자연보전국장은 “넓은 면적에 걸친 침엽수 중심의 획일적 조림은 식생의 단순화를 유발해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킨다”며 “인공 조림을 하는 경우라도 우리나라의 야생동식물이 가장 잘 적응하는 것이 온대 활엽수림임을 감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원대 정연숙교수(생명과학부) 역시 “자연복원림은 경제적 가치가 작으므로 목재자급률이 떨어지는 우리나라는 경제수 조림을 해야 한다는 인공조림 논리는 생태계를 단지 나무생산공장으로만 보는 것”이라며 “이는 강만 보면 댐을 건설하려는 것과 같다”고 덧붙였다.

반면 국민대 김은식교수(산림자원학)는 “이번 산불은 피해지역이 넓기 때문에 생태계의 복원능력이 상당히 훼손됐다”며 “자연복원을 기다리며 방치하는 경우에는 지형적인 특성상 지속적으로 토사가 유출돼 다른 식생이 자랄 수 없는 곳으로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교수는 “독일과 일본은 생태계를 고려해 산림을 관리하는 인공조림이 성공한 대표적 예”라며 “우리도 대규모의 생태계 교란을 복구해낼 ‘생태적 복원조림’을 실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승진기자>sarafin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