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동아일보
전체메뉴
검색
최근검색어
최근 검색어
내역이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닫기
language
language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동아미디어그룹
동아미디어그룹
채널A
스포츠동아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매거진
오피니언
사설
오늘과 내일
횡설수설
동아광장
시론
광화문에서
현장에서
POLL
뉴스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매거진
신동아
주간동아
여성동아
매거진동아
동아비즈니스리뷰
하버드비즈니스
리뷰코리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어린이 과학동아
수학동아
에듀동아
바이브랜드
섹션
책의 향기
스타일매거진Q
골든걸
edu+
히어로콘텐츠
디스페셜
헬스동아
실시간 뉴스
이슈 포인트
연재 포인트
트렌드뉴스
뉴스레터 신청
기자 구독
동아APP서비스
지면보기
PDF서비스
구독신청
동아디지털아카이브
보도자료
보이스뉴스
RSS
동아방송 DBS
채널A
스포츠동아
비즈N
EV라운지
MLB파크
보스
VODA
IT동아
게임동아
전체 연재
연재
동아일보를 통해 본 대한민국 근현대사
공유하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20
개
구독
최신기사
날짜별
지면기사만 보기
지면기사만 보기
[동아일보를 통해 본 대한민국 근현대사]<20·끝> 동아방송, 방송계의 선례로 남다
《‘새 의욕, 새 감각, 새 아이디어.’ 동아방송의 출발정신은 ‘새로움’이었다. 1963년 4월 25일 개국한 동아방송은 창의적인 프로그램으로 승부수를 던졌다. 다른 방송국의 인기 프로그램을 답습하기보다 정형화된 틀을 깬 새로운 내용과 형식의 프로그램으로 경쟁력을 확
2010-12-13 03:00
[동아일보를 통해 본 대한민국 근현대사]<19> 방송보도의 표본을 보여주다
“여기는 동아방송 DBS입니다. 동아의 첫 뉴스를 전해드리겠습니다.” 1963년 4월 25일 오전 5시 30분 동아방송이 쏘아올린 첫 전파는 뉴스와 함께 시작했다. 동아방송 뉴스는 ‘격조 높은 민족의 방송’을 표방한 동아방송의 색깔을 가장 선명하게 드러낸 분야였다. 동아일
2010-11-29 03:00
[동아일보를 통해 본 대한민국 근현대사]<18> 체육행사로 겨레의 얼 일깨우다
《창간 당시부터 민족의 역량 제고에 힘을 쏟았던 동아일보는 사세가 안정되면서 곧바로 체육 활동을 통한 민족혼 고취와 사회계몽에 눈길을 돌렸다. 1923년 여자정구대회를 창시한 것을 시작으로 1926년 4개 구락부 야구연맹전, 1929년 조선수영경기대회, 1931년 마라손(마
2010-11-22 03:00
[동아일보를 통해 본 대한민국 근현대사]<17> 예술문화 부흥의 중심지가 되다
1920년 5월 4일 저녁 서울 종로 기독교청년회관 대강당에 인파가 몰려들었다. 일본의 여성 성악가 야나기 가네코(1892∼1984)의 독창회를 보러 온 사람들이었다. 이 공연은 한국 최초의 실내 서양음악 연주회였으며 동아일보가 주관한 첫 문화행사이기도 했다. 가네코는 ‘
2010-11-02 03:00
[동아일보를 통해 본 대한민국 근현대사]<16>한국 현대문학 토대 닦은 신춘문예
《창간과 함께 민족주의 민주주의 문화주의의 3대 사시를 내걸었던 동아일보의 90년은 민족 문화역량 제고와 육성을 위한 노력의 90년이기도 했다. 일제강점기부터 신춘문예로 대표되는 각종 문예공모로 민족문예 부흥과 인재 발굴을 함께 꾀했으며 광복 후에는 동아음악콩쿠
2010-10-25 03:00
[동아일보를 통해 본 대한민국 근현대사]<15> 미디어그룹의 리더로 도약
“동아일보의 거룩한 창간 전통에 다시 한 번 중흥의 불을 댕기는 제2의 창간을 이룩해야겠다는 결의를 밝힙니다.” 1989년 3월 25일 동아일보 사장에 취임한 화정 김병관(1934∼2008)은 4월 1일 취임사에서 동아일보의 제2창간을 주창했다. 이전까지는 권력의 횡포를 억지
2010-10-19 03:00
[동아일보를 통해 본 대한민국 근현대사]<14> 1987년 민주화 물꼬 트다
‘물고문 도중 질식사.’ 충격적인 제목이 1987년 1월 19일자 동아일보 1면 머리기사로 올랐다. 서울대생 박종철 군의 사망이 수사관의 물고문 때문이었음을 인정하는 경찰의 공식 발표와 함께 사건의 전모를 전하는 기사였다. 강민창 치안본부장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2010-10-11 03:00
[동아일보를 통해 본 대한민국 근현대사]<13> 5공의 탄압, 그리고 강탈 당한 동아방송
‘폭군이 있는 곳에 노예가 있고 노예 되기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폭군이 설 땅이 없다…4·19혁명 스무 돌…자유의 나무가 얼마나 자랐을까. 이렇게 생각할 때 착잡하고 안타까운 마음을 누를 길이 없다…80년 4월 19일 아침부터 모진 비바람이 역사의 현장, 세종로 네거리
2010-10-04 03:00
1
2
최근 업데이트 연재
설명
해당 연재를 제외하고 전체 연재 목록 중
기사가 최신 업데이트된 순으로 보여드립니다.
닫기
다이내믹 여의도
당직 개편 ‘싸늘’·개딸 ‘통제 불능’… 이재명, ‘내홍 봉합’ 난감[고성호 기자의 다이내믹 여의도]
최신기사 2023.03.29 14:00
기사
125
개
구독
메트로 돋보기
선착장부터 도심까지 도보 32분… 서울시 수상버스, 성공할 수 있을까?[메트로 돋보기]
최신기사 2023.03.29 11:55
기사
7
개
구독
청계천 옆 사진관
탑골공원에서 내 이름은 ‘의정부’[청계천 옆 사진관]
최신기사 2023.03.29 10:54
기사
1,564
개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