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서울의 봄 봤다…이제 故정선엽 병장·박윤관 일병 명예회복 됐으면”

  • 뉴스1
  • 입력 2023년 12월 4일 09시 29분


코멘트
1979년 12월 12일 밤 전두환 측 반란군과 이에 맞서는 국방부 헌병대. (영화 서울의 봄 갈무리) ⓒ 뉴스1
1979년 12월 12일 밤 전두환 측 반란군과 이에 맞서는 국방부 헌병대. (영화 서울의 봄 갈무리) ⓒ 뉴스1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은 1979년 12월 12일 밤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이 주도한 12·12군사쿠데타로 희생된 사병들에 대한 명예회복을 요구했다.

12·12 당시 서울 중구 필동의 수도경비사령부 33경비단 일병으로 군 복무 중이었던 유 전 의원은 4일 자신의 SNS를 통해 “영화 ‘서울의 봄’을 봤다”며 “당시 현장에서 겪었던 충격적인 기억들이 지금도 가슴속에 생생하게 남아 있다”고 했다.

유 전 의원은 “당시 지휘관인 33경비단장(김진영)은 반란군에 가담해 자기 혼자 청와대 30경비단(단장 장세동)에 가 있었고, 필동의 33경비단 병력들은 부단장 지휘하에 장태완 사령관의 명령에 따랐다”고 했다.

이어 “평소 병사들 앞에서 근엄하게 군기를 잡고 군인정신을 외치던 장교들이 편을 갈라 서로 총부리를 겨눈 채 추악한 하극상을 보이고 어느 줄에 서야 살아남을지를 계산하느라 우왕좌왕하던 모습을 고스란히 봤다”며 “‘저게 군인이냐?’는 생각에 정치군인에 대한 환멸을 갖게 만든 날이었다”고 현장에서 목격한 12·12당시 장교들의 모습은 정치인 그 자체였다고 지적했다.

유 전 의원은 “2012년 국회 국방위원장이 된 저는 ‘고(故) 김오랑 중령 무공훈장 추서 및 추모비 건립 촉구 결의안’을 박근혜 정부 국방부와 일부 국방위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013년 4월 통과시켜 그 이듬해 보국훈장 추서로 김오랑 중령 명예를 조금이라도 지켜드렸다”고 했다.

그러면서 “영화에서도, 현실에서도 44년전 그날 밤 전사한 고 정선엽 병장, 고 박윤관 일병의 명예를 지켜드리지 못해 아쉽다”고 했다.

“국방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입대했는데 적과의 교전이 아니라 정치군인들의 쿠데타 속에서 명령을 따르다 전사한 이 병사들의 명예를 지켜드리는 일이 아직 남아 있다”는 유 전 의원은 “영화 서울의 봄‘의 날갯짓이 정 병장과 박 일병의 명예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여러분의 따뜻한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고 정선엽 병장과 고 박윤관 일병에게도 훈장과 그들의 전사를 기리는 흉상이 세워질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부탁했다.

제대 3개월을 앞둔 1979년 12월 13일 새벽, 쿠데타군이 쏜 총에 맞아 전사한 고(故) 정선엽 병장과 사망날짜가 적힌 서울현충원 고인의 묘비. 당시 고인은 국방부 헌병대원으로 국방부 점령에 나선 1공수여단에 맞섰다.  ⓒ 뉴스1 DB
제대 3개월을 앞둔 1979년 12월 13일 새벽, 쿠데타군이 쏜 총에 맞아 전사한 고(故) 정선엽 병장과 사망날짜가 적힌 서울현충원 고인의 묘비. 당시 고인은 국방부 헌병대원으로 국방부 점령에 나선 1공수여단에 맞섰다. ⓒ 뉴스1 DB
12·12군사반란 때 국방부 헌병대 병장으로 제대를 3개월 앞두고 있던 고 정선엽 병장은 1979년 12월 13일 새벽 국방부 점령을 위해 진입한 제1공수특전여단과 맞서다 총탄을 맞고 사망했다.

23살 꽃다운 나이로 숨진 정선엽 병장은 1980년 3월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됐으며 2022년 12월 7일 ’순직‘에서 ’전사자‘로 분류됐다.

박윤관 일병은 수경사 33헌병대 소속으로 신군부 측인 상관의 명령에 따라 육군참모총장 공관 초소를 점령한 뒤 탈환에 나선 해병대가 쏜 총에 맞아 1979년 12월 13일 새벽 순직했다.

신군부측은 박 일병에게 상병으로 1계급 추서해 반쿠데타군 소속이었던 정선엽 병장과 다른 태도를 보였다.

상관의 명령에 따라 움직여야 하는 사병들이었던 고 정선엽 병장, 고 박윤관 일병에 대한 추모비 건립, 훈장추서 요구가 있었지만 번번이 묵살됐다.

이에 유승민 전 의원 등은 고인들의 명예도 회복시켜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