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고체연료 활용 중거리탄도미사일도 개발…“엔진 시험 결과 만족”

  • 뉴스1
  • 입력 2023년 11월 15일 06시 35분


코멘트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5일 “새형의 중거리탄도미사일용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엔진)들을 개발하고 1계단(단계) 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11월11일에, 2계단 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11월14일에 성과적으로 진행했다”라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5일 “새형의 중거리탄도미사일용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엔진)들을 개발하고 1계단(단계) 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11월11일에, 2계단 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11월14일에 성과적으로 진행했다”라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이 고체연료를 활용하는 새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을 개발 중이며, 엔진 시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앞서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 시험발사에 성공한 데 이어 IRBM용 엔진까지 개발하는 등 고체연료 활용을 다각화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5일 “새형의 중거리탄도미사일용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엔진)들을 개발하고 1계단(단계) 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11월11일에, 2계단 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11월14일에 성과적으로 진행했다”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이번 시험은 새로 개발한 중거리탄도미사일용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들의 기술적 특성들을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됐다”며 이번 시험에서 ‘대단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고 전했다.

이어 “이미 확보한 우리식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 분야의 설계 및 제작 기술력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다시 한번 뚜렷이 검증됐다”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미사일총국이 이번 시험에 대해 “나라 앞에 조성된 엄중하고 불안정한 안전 환경과 적들의 군사적 공모 결탁 책동이 더욱 악랄하게 감행될 전망적인 지역의 군사정세에 대비해 공화국 무력의 전략적인 공격력을 보다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 공정으로 된다”라며 신형 중거리탄도미사일 개발 사업에 의미를 부여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는 이번 엔진 시험을 참관하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번 시험은 북한이 지난해 12월 ICBM용 고체연료 엔진 시험 사실을 공개한 데 이어 약 11개월 만에 새로 공개한 고체연료 엔진 시험이다.

고체연료는 액체연료에 비해 주입 시간이 짧아 미사일 노출 가능성을 줄이고 기동력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은 그간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 등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에는 고체연료를 활용해온 것으로 평가되고 있고, 올해 4월에는 ICBM인 ‘화성-18형’에까지 고체연료 엔진을 장착해 시험발사했다. 이때 사용된 엔진이 지난해 12월 첫 시험 사실이 공개된 엔진으로 보인다.

신문은 이날 새 중거리탄도미사일 개발이 지난해 연말과 올해 연초에 진행된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6차 전원회의와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8기 제4차 확대회의에서 ‘국방력 현대화 계획’을 심의하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과 함께 미사일공업 부문에 제시된 중대 과업이라고 언급하며 그간 지속적인 개발을 하고 있었음을 시사했다.

이날 시험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고 한 것으로 미뤄 북한은 곧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새 IRBM의 시험발사를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