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남쪽 방향으로 ‘인공위성’ 재발사…약 3개월 만

  • 뉴스1
  • 입력 2023년 8월 24일 04시 20분


코멘트
북한 우주 발사체. 2023.6.16/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북한 우주 발사체. 2023.6.16/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체를 24일 쏘아올렸다. 이는 지난 5월31일 정상 비행 실패 이후 약 3개월 만의 재발사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3시57분쯤 국방부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 “북한이 남쪽 방향으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고 전했다.

앞서 북한 당국은 ‘24일 0시부터 31일 0시 사이 위성용 로켓을 발사하겠다’고 일본 해상보안청에 통보했다. 북한은 지난 5월 말 위성 발사 시도 때처럼 발사 예고기간 첫날 발사를 감행했다.

북한이 이날 위성 발사를 한 것은 올 후반기 한미연합연습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 21~31일)에 대한 반발 성격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도 북한은 지난 5월 말처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군사정찰위성’을 쏘아올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성 발사용 로켓도 기본적으로 탄도미사일과 같은 기술을 사용한다. 따라서 북한의 위성 발사는 ‘탄도미사일 및 그 기술을 이용한 모든 비행체 발사를 금지’한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에 해당한다.

해상보안청에 따르면 북한은 이번 위성 발사계획 통보와 함께 위성 발사시 로켓 추진체 등 낙하물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구역’으로 △한반도 서해와 △동중국해, 그리고 △필리핀 루손섬 동쪽 등 3개 해역을 지정했다. 이 역시 5월 말 위성 발사 시도 때와 같다.

북한이 이번에 예고한 위성 발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경우 이들 해역엔 각각 1단 추진체와 페어링(위성 보호 덮개), 2단 추진체가 분리돼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 군은 이 발사체의 정확한 제원을 분석하는 한편, 해상에 떨어진 그 추진체 등 낙하물 수거에 나설 계획이다.

북한은 앞서 5월31일 오전 동창리 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천리마 1형’ 로켓을 발사했으나, 이땐 추진체 단 분리과정에서 엔진 고장 등을 일으켜 2단 추진체 추정 물체 등이 전북 군산 어청도 서쪽 200여㎞ 거리 해상에 떨어졌다.

우리 군은 이후 30여일간의 탐색·인양작전을 통해 북한이 쏴 올린 발사체 등의 잔해물을 다수 건져냈고, 미국 측과의 공동 분석 작업을 통해 “정찰위성으로서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다”는 평가를 내놨다.

북한은 당시 위성 발사 실패 이후 문제점을 보완해 재발사하겠다고 예고해왔던 만큼 이번엔 발사에 성공할지 여부에 국내외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