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경 혁신위, 쇄신안 호응없고 설화만…“스텝 꼬일대로 꼬여”

  • 뉴시스
  • 입력 2023년 8월 1일 15시 56분


코멘트

이번엔 '노인 비하 논란'…잇단 설화에 당내서도 '황당'
혁신안 논의는 계파 갈등에 '후순위'…지도부는 '침묵'

더불어민주당 김은경 혁신위원회가 이번엔 노인 비하 논란에 휘말렸다. 그간 이렇다 할 쇄신 성과를 내지 못한 가운데 김 위원장은 연일 발언으로 구설수에 오르면서 당내 입지가 휘청이고 있다. 출범 한달 여 만에 좌초 위기에 직면한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전망까지 나온다.

1일 비명(비이재명)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당내선 김 위원장을 향한 질타가 쏟아졌다. 김 위원장은 최근 청년 좌담회에서 노인 유권자들을 ‘미래가 짧은 분’에 비유해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조응천 의원은 이날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정말 귀를 의심했다”며 “과연 우리 당을 혁신하러, 도와주러 오신 분이 맞나”라고 직격했고, 이상민 의원도 또 다른 라디오 인터뷰에서 “너무 황당하다”며 거들었다. 이 의원은 혁신위가 발언 취지를 해명한 데 대해서도 “논란 빌미를 만들지 말았어야 했다”고 꼬집었다.

김 위원장이 설화로 구설수에 휘말린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당내 초선들을 학력이 저하된 ‘코로나 세대’ 대학생에 비유했다가 사과했고, 이낙연 전 대표를 향해선 ‘계파를 살려 정치하려 한다’는 취지로 발언했다가 친이낙연계 의원들로부터 반발을 사기도 했다. 당내선 김 위원장의 연이은 설화 리스크에 황당하다는 반응이 나온다.

신동근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김 위원장 취임 이후 설화가 잦다”며 “진의가 어떻든 간에 그런 논란이 잦다는 것은 분명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신 의원은 “당 혁신에 매진하기도 벅찬데 위원장의 설화 리스크에 마음이 조마조마하게 된다면 이는 정상이 아니다”라며 “김 위원장의 말이 더 진중해져야 한다”고 적었다.

또 다른 비명계 초선 의원도 뉴시스와 만난 자리에서 “말에 무게감이 있어야 하는데 혁신위원장 입이 너무 가볍다”고 일침을 가했다.

친명계에서도 우려가 나오긴 매한가지다. 친명계로 분류되는 한 초선 의원은 뉴시스와 한 통화에서 “그 분(김 위원장)이 왜 자꾸 그러시는지 모르겠다. 처음 한두 번은 정치를 안 해본 분이어서 실수로 여겼는데, 이 같은 상황이 반복되면 단순히 실수로 볼 문제는 아니지 않나”라고 쓴소리를 했다.

잡음이 이어지는 가운데 혁신위 본연의 과제는 뒷전으로 밀려난 모습이다. 가뜩이나 계파 갈등을 비롯한 복합적인 이유로 혁신위 활동이 속도를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혁신위는 진통 끝에 1호 쇄신안인 ‘불체포특권 포기’에 대한 의원총회 추인을 끌어냈지만 이후 답보 상태에 빠져 있다. 지난달 21일 2호 쇄신안 일환으로 ‘기명투표 전환’을 요구했지만 열흘이 지나도록 이는 당내 논의 테이블조차 오르지 못하고 있다. 비명계 반발이 거센 탓에 당 지도부도 공론화를 주저하는 분위기다. 자칫 당내 분란만 키울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후 혁신위가 공천룰까지 손 보기 시작하면 계파 갈등은 악화일로를 걸을 것으로 우려된다.

한 혁신위 관계자는 “전반적인 상황이 예상치 못한 전개로 흐르고 있어 당황스럽다”며 “스텝이 꼬여도 너무 꼬였다”고 말했다.

혁신위는 일단 노인 비하성 발언 논란과 관련해선 “김 위원장 아들의 중학생 시절 아이디어로 청년 정치 참여를 독려했다”는 취지로 해명했다. 혁신위 해명 이후에도 당 안팎의 비판이 쏟아지는 데 대해선 ‘정치 공세’로 규정하고 추가 대응을 자제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다른 혁신위 관계자는 “김 위원장 발언 전문을 살펴보면 노인 비하 의도가 전혀 없다는 맥락이 읽힐 것”이라며 “정치 공세엔 굳이 대응할 필요 없다고 본다. 대응할수록 상황만 안 좋아질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혁신위는 이날 오전 재선 의원들과 조찬 겸 비공개 회동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도 이번 논란과 관련한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