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한민국, 유엔군의 피묻은 군복 위에 서 있다”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7월 27일 20시 28분


코멘트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 야외극장에서 열린 유엔군 참전의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 야외극장에서 열린 유엔군 참전의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정전협정 70주년 행사에서 유엔군 참전용사 62명을 최고 예우로 영접했다. 한국전 참전 기념비 건립에 기여한 호주⸱미국인 참전용사에게는 정부 포상을 수여했다. 영국인 참전용사로, 2019년 영국의 대표적 경연 프로그램인 ‘브리튼스 갓 탤런트(Britain’s God Talent)’에서 우승해 국민스타로 떠오른 콜린 새커리 옹은 ‘어메이징 아리랑’을 열창했다.

윤 대통령 부부는 이날 저녁 부산 영화의전당에서 열린 ‘유엔군 참전의 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에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에서 국군 및 유엔군사령부 의장병의 호위를 받아 입장하는 유엔군 참전용사 62명을 영접했다.

윤 대통령은 “73년 전, 자유 세계의 수많은 젊은이들이 ‘하나의 유엔 깃발 아래’(under one banner) 전혀 알지도 못하는 나라,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달려왔다. 3년간 22개국에서 195만 명의 청년들이 전쟁의 포화 속으로 뛰어들었다”며 “미군 3만7000명을 포함한 4만1000명의 유엔군이 전사하고 11만 명이 다치거나 포로가 되는 큰 희생을 치렀다. 유엔군 참전용사 여러분은 인생의 가장 꽃다운 나이에 알지도 못하는 나라의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친 우리들의 진정한 영웅”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 야외극장에서 열린 유엔군 참전의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에서 도널드 리드 미군 참전용사에게 국민포장을 수여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 야외극장에서 열린 유엔군 참전의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에서 도널드 리드 미군 참전용사에게 국민포장을 수여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 대통령은 이어 “1953년 정전협정이 체결된 이후 70년이 지난 지금에도 유엔군사령부는 한반도의 평화를 지키고 대한민국을 수호하는 핵심적 역할을 다하고 있다”며 “유엔군사령부는 한반도 유사시 유엔의 깃발 아래 우리 우방국들이 즉각적 군사 지원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전쟁 수행에 필수적인 유엔사 후방 기지 일곱 곳을 자동적으로 확보하는 플랫폼이다. 이처럼 중요한 유엔군사령부의 역할은 유엔의 역사에서도 유일하며 무엇보다 자유를 위해 연대하겠다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각별하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오늘의 대한민국은 유엔군의 희생과 헌신, 그리고 피 묻은 군복 위에 서 있다. 대한민국은 여러분의 희생과 헌신으로 공산 전체주의 세력으로부터 자유를 지켜낼 수 있었다”며 “전쟁의 참혹한 상처와 폐허를 딛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눈부신 성장과 번영을 이룰 수 있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 활동을 언급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이곳 부산은 6‧25 전쟁 기간 100만 명이 넘는 피란민의 도시에서 세계 2위의 환적항이자 글로벌 물류 허브로 발돋움했다”며 “유엔 참전국들의 도움으로 전쟁의 잿더미에서 세계적인 해양도시로 거듭난 부산은 이제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세계박람회 개최를 준비하고 있다. 2030 부산 세계박람회는 인류가 직면한 공동의 과제를 공유하고 그 해결책을 함께 모색하는 솔루션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 목숨을 걸고 달려와 준 여러분과 우방국들에 대한 고마움을 절대 잊지 않을 것”이라며 “지금 전 세계 13개국에서 우리 국군 장병 1000여 명이 해외 파병을 통해 국제사회의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자유민주주의 국가들과 연대하고, 한미동맹을 핵심축으로 해 인도-태평양 지역뿐 아니라 전 세계의 자유, 평화, 번영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7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 야외극장에서 열린 유엔군 참전의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에서 패트릭 핀(미국)과 콜린 태커리(영국) 참전용사가 아리랑을 부르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7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 야외극장에서 열린 유엔군 참전의날·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에서 패트릭 핀(미국)과 콜린 태커리(영국) 참전용사가 아리랑을 부르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기념식에서 국기에 대한 맹세문은 올해 파병 10주년을 맞은 남수단 한빛부대 장병들이 낭독했다. 이어 데임 신디 키로 뉴질랜드 총독이 유엔 참전국을 대표해 인사말을 했다. 미 해병대 1사단 소속으로 장진호 전투에 참전한 패트릭 파인 옹과 영국 ‘브리튼스 갓 탤런트’에서 역대 최고령 참가자로 우승한 새커리 옹은 연합합창단과 ‘어메이징 아리랑’을 불렀다.

정부 포상도 진행됐다. 윤 대통령은 호주군 참전용사로, 멜버른 한국전 참전 기념비 건립을 주도했던 고(故) 토마스 콘론 파킨슨 일병에게 수여하는 국민훈장 석류장을 고인의 딸에게 전달했다. 미국 한국전 참전 기념비 건립과 한미관계 발전에 기여한 도널드 리드 옹에게도 국민포장을 직접 수여했다.

기념식에는 유엔 참전국에서 정부대표단, 참전용사와 유가족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이종섭 국방부 장관, 이배용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 등 정부 인사와 박정환 육군참모총장, 이종호 해군참모총장, 정상화 공군참모총장, 안병석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김계환 해병대사령관, 앤드류 해리슨 유엔군사령부 부사령관, 스콧 플로이스 주한미군 부사령관 등 군 주요 직위자도 자리했다. 그 밖에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를 비롯해 각계 대표, 시민, 학생 등 2600여 명이 참석했다..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