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북핵대표 “‘北위협 대응’ 한일·한미일 공조 지속 강화”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20일 17시 15분


코멘트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오른쪽)과 후나코시 다케히로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외교부 제공)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오른쪽)과 후나코시 다케히로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외교부 제공)
우리나라와 일본의 북핵수석대표들이 20일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한일·한미일 공조를 지속 강화해가기로 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김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후나코시 다케히로(船越健裕)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이날 일본 나가노(長野)현 가루이자와(輕井澤)에서 진행된 한일 북핵수석대표 협의를 통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북한은 지난 12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을 발사한 데 이어 19일엔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2발을 쏘는 등 도발을 이어가고 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및 그 기술을 이용한 모든 비행체 발사는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다.

이와 관련 김 본부장과 후나코시 국장은 이날 협의에서 “북한이 전례 없는 빈도로 핵·미사일 도발을 지속하며 한반도와 역내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음을 강력 규탄한다”고 밝혔다.

또 한일 양측은 내년에 한미일 3국이 동시에 안보리 이사국으로 활동하는 점을 들어 “국제사회의 철저한 대북 안보리 결의 이행 강화와 중국의 ‘건설적 역할’ 견인 노력을 배가해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외교부가 전했다.

미국은 안보리 상임이사국이며, 일본은 2023~24년 임기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을 수임 중이다. 우리나라는 2024~25년 임기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활동한다.

한일 양측은 “한미일의 안보리 활동이 북한 주민들의 인권 실상을 국제사회에 제대로 알리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는 데도 인식을 같이했다.

이와 관련 김 본부장은 “납북자와 북한 내 억류자, 국군포로, 탈북민, 이산가족 등 다양한 북한 인권 문제를 조속히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아울러 한일 양측은 “북한에 ‘대화의 문’이 열려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히면서 “북한이 도발을 중단하고 비핵화 대화에 복귀할 수밖에 없는 전략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한일·한미일 간 소통·공조를 지속 강화해가자”는 데도 뜻을 함께했다.

김 본부장과 후나코시 국장은 이날 오후엔 성 김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함께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협의에도 임했다.

한미일 3국 협의에선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자금줄로 지목된 불법 사이버 활동을 근절하기 위한 국제사회와의 공조 방안 등이 논의됐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