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특별재난지역 등 정책수단 총동원”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17일 18시 35분


코멘트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오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집중호우 대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3.7.17/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집중호우 피해와 관련해 17일 “특별재난지역 선포 등 정책 수단을 모두 동원하여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추진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리투아니아·폴란드·우크라이나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직후 집중호우 대책 회의를 주재하고, 피해 지역을 방문하며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한 대응에 나섰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집중호우 대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지금 제일 중요한 것은 인명 피해를 막고 최소화하는 것”이라며 “지금의 상황을 모두 엄중하게 인식하고 군·경을 포함한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구조가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현장에서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주기 바란다”며 “국민 안전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은 집중호우가 올 때 사무실에 앉아만 있지 말고 현장에 나가서 상황을 둘러보고 미리미리 대처하라”고 지시했다고 대통령실 이도운 대변인이 전했다.

아울러 “복구 작업과 재난 피해에 대한 지원 역시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며 가용 정책 수단을 총동원하라고 지시했다. 이날 오전 5시 10분경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한 윤 대통령은 귀국 후 곧바로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 등 참모들로부터 호우 피해 상황 등을 보고받았다. 오전 8시 반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소집했다.

정부가 긴급 조사에 착수하면서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예년 집중호우 때보다 2주 정도 빨라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경북 예천군을 비롯해 집중호우로 심각한 피해를 본 경북과 충북 지역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선포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피해 현황에 대한 조사 등 필요한 절차를 빠르게 진행해 이르면 19일에 일부 지역의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가능할 수 있다”고 했다.
이상헌 기자 dapape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