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이주민도 사회 인식 변화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해야”

  • 뉴시스
  • 입력 2023년 5월 17일 11시 31분


코멘트
윤석열 대통령은 17일 이주민들을 만나 사회 인식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구성원으로서의 노력을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이주민과의 동행 특별위원회(특위)’ 회의에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나라에 이주 배경을 가진 주민의 숫자는 234만명, 충청남도 정도 규모가 된다”며 “우리 사회가 이주 배경 주민들의 사회적 지위와 권익을 위해 더 깊이 고민하고 제도화 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주 배경 주민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를 우리 사회가 회피해왔다”며 “무엇보다 우리 사회의 인식이 아직 제대로 바뀌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주민 역시도 사회 인식 변화를 이끌어내는데 필요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에 제한이 있다보니 이주민 당사자 본인도 이러한 노력이 많이 부족하거나 그럴 기회가 제대로 없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우리는 글로벌 중추국가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이주 배경 주민을 법적으로 제도적으로 어떻게 처우하느냐의 문제는 국제사회에서 많은 관심을 가진다”며 “논의를 회피할 것이 아니라 국민 인식을 정확히 조사하고, 불합리한 인식이 바뀔 수 있도록 해서 국제사회 어디에 내놓아도 부끄럽지 않은 글로벌 중추국가로서의 역할과 위상에 부합하는 정책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늘 한번이 아니라 (회의가) 계속 이어져서 바람직한 정책 제언과 국민 인식 조사 등이 잘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아울러 국민통합위에 대해 “출범 이후 국가통합 5개년 국가전략을 확정하고, 청년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가동해 활발한 소통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감사 인사를 전했다.

특위 회의에는 베트남, 미얀마, 러시아, 아르헨티나, 파키스탄 등 7개국 출신 이주민 당사자 7명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주배경아동의 출생, 보육, 교육 단계별 지원 방안이 논의됐다.

특위는 이주민에 대한 범부처 차원의 통합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전문가와 관계부처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주민을 ‘새로운 우리’로 동행할 수 있는 정책 제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많은 국가들이 인권과 공정이라는 가치를 표방하며 국가 차원의 이주민 사회통합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국민이 공감하고 함께할 수 있는 실용적 해법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