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위성 발사’ 예고 속 美이지스함 ‘존 핀’ 한반도 전개

  • 뉴스1
  • 입력 2023년 5월 1일 11시 35분


코멘트
미 해군 구축함 ‘존 핀’ (미 해군)
미 해군 구축함 ‘존 핀’ (미 해군)
최근 미국 해군의 이지스구축함 ‘존 핀’이 우리나라에 기항했다는 보도가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1일 이일우 자주국방네트워크 사무국장을 인용, 미 해군 제7함대에 배속된 이지스함 ‘존 핀’이 지난달 21일부터 약 1주일 간 경기도 평택 해군기지에 입항했다고 보도했다.

이 국장은 방송에서 존 핀의 이번 한반도 전개에 맞춰 해군 제7기동전단 소속 구축함 ‘세종대왕함’ 등도 평택 기지에 입항했다고 전했다.

이 국장은 ‘존 핀’의 이번 한반도 전개가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예고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북한이 쏜 정찰위성이나 이를 실은 로켓 추진체 파편 등이 한반도 서해안 등지에 떨어질 경우 이를 요격하는 임무를 부여받았을 것이란 설명이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정은 당 총비서는 지난달 18일 국가우주개발국 현지 지도 때 정찰위성 ‘1호기’를 “계획된 시일 안에 발사할 수 있도록 최종 준비를 다그쳐 끝내라”고 지시했다.

이와 관련 일본 방위성은 “북한이 인공위성을 쏠 경우 오키나와(沖繩) 인근 상공을 지나갈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서 로켓 추진체 등 잔해물 낙하에 대비해 오키나와 일대에 항공자위대의 지대공유도탄 ‘패트리엇’(PAC3)을 전개하는 등 ‘파괴조치 준비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SM-3 함대공 요격미사일을 탑재한 일본 해상자위대 구축함도 북한의 위성 발사 등에 대비해 대북 경계·감시임무를 수행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평택에 입항했던 것으로 알려진 ‘존 핀’도 SM-3 등의 요격미사일을 운용한다.

특히 ‘존 핀’은 2020년 11월엔 서태평양에서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가정한 발사체를 요격하는 시험에 성공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가운데 우리 군 당국도 북한의 위성 발사 가능성 등 관련 동향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