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덕철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책임 전가에 “정부는 전단 등을 통한 (코로나19의) 북측 유입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밝혔다.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코로나19 최초 발생지로 남북 접경 지역인 강원도 금강군 이포리를 지목하며 전염 통로로 대북전단 등을 거론했다.
이에 차 부대변인은 대북전단 살포 시기와 전문가들의 견해 등을 근거로 제시하며 반박에 나섰다.
차 부대변인은 “우리 측 민간단체가 대북전단을 살포했다고 주장하는 시기는 북측이 최초 접촉 시기로 언급한 4월 초보다 늦은 4월 25일과 4월 26일”이라며 시기상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물체의 표면에 잔존한 바이러스를 통한 코로나 감염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 질병관리청 등 관계기관 및 전문가 그리고 WHO 등 국제기구들의 공통된 견해”라며 “물자나 우편물 등을 통해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고 공식적으로 인증된 사례도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차 부대변인은 그러면서 “앞으로 북한의 추가적인 입장 표명 등 관련 동향을 보면서 종합적으로 판단해 나가겠다”라고 했다.
한지혜 동아닷컴 기자 onewisdo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