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테러, 전쟁 활용 우려…한국도 위험 예외 아냐”

  • 뉴시스
  • 입력 2022년 3월 14일 16시 20분


코멘트
국가정보원이 올해 테러가 하이브리드 전쟁 주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등의 전망을 내놓았다. 또 우리 국민 대상 테러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면서 주의를 당부했다.

14일 국정원은 ‘2021년 국제테러정세 평가 및 2022년 전망’ 책자를 배포했다고 밝혔다. 정부 부처, 광역 단체,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에 배포됐으며 올해는 주요 내용을 온라인에도 공개했다.

해당 자료에는 지난해 대륙, 국가별 테러 정세 평가와 동향, 주요 테러 사건 등이 담겼다. 또 세계 각국 테러 위협 평가와 예상을 바탕으로 올해 정세를 종합 전망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먼저 국정원은 국제 분쟁에서 직접적 군사력보다 비군사적 방안 일환으로 테러가 주요 하이브리드 전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바라봤다. 예맨 후티 반군의 드론 활용 등이 해당한다.

또 미국 등의 대테러 전쟁 축소로 중동, 아프리카 지역 조직 재건을 위한 공세적 활동 전개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개별 차원의 외로운 늑대형 테러 또한 지속될 수 있다는 관측도 담겼다.

극우, 증오형 테러 확산에 대한 우려도 지적됐다. 코로나19 팬데믹과 장기 불황 등에 따른 분노를 특정 집단에 전이하는 식의 테러 빈발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아시아인 대상 혐오 범죄 등이 이 범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외 치안 불안 지역 납치 범죄도 이어질 것이라는 지적이 담겼다. 아프리카, 중남미 일부 지역 등에서 자금 마련 목적 납치 시도 가능성이 있어 현지 선원, 선교사 등 교민 안전이 요구된다고 국정원은 당부했다.

지난해 국내에서 국제 테러 단체에 의한 직접 테러는 발생하지 않았다. 다만 테러 자금 조달 사례 적발, 국내 체류 외국인의 온라인 선전·선동, 우리 국민 납치 등 한인 대상 테러 위협은 여전한 상태로 평가된다.

국정원은 “국내 체류 외국인이 다양해지고 온라인 영향력이 커지면서 테러 단체, 추종자들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한 선동 및 자금 모금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테러 위험에서 예외는 아니다”라고 했다.

이어 “해외 체류 우리 국민 피해 발생 가능성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며 “서방 극우주의자들의 재외 국민 대상 증오형 테러, 서아프리카 해역 해적 활동도 여전히 위협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테러 발생 건수는 1442건으로 전년 1951건 대비 감소했다. 테러 사상자 수도 2020년 1만4478명에서 2021년 9672명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나이지리아 271건, 아프가니스탄 240건, 시리아 237건, 이라크 184건, 파키스탄 104건 등으로 테러가 발생했다. ISIS(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무대가 활동 무대를 옮긴 영향 등으로 이라크 내 테러 발생이 늘었다고 한다.

대륙별로는 아프리카 488건, 아시아 461건, 중동 457건, 유럽 23건, 미주 13건 등으로 집계된다. 유형별로는 무장공격 807건, 폭파 509건, 납치 60건, 암살 19건, 총격 11건 순이다.

피해 대상으로는 군인과 경찰 634건, 민간인 592건 등이었다. 또 아이티 대통령 암살, 영국 하원의원 피습 등 정부 요인 및 시설에 대한 테러는 92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