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해당 사안에 대해 언급하는 순간, 자칫 청와대가 정치적 중립을 깨는 일이 벌어질 수도 있고 무엇보다 현재의 ‘논란의 소용돌이’에 함께 휩싸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야당에서는 앞서 대통령이 공수처의 정치적 중립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공수처의 통신 조회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고 하는데 그 필요성이 있다고 보나’라는 물음에 이같이 답했다.
최근 공수처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부인 김건희씨를 포함한 야당 의원들 및 언론인들의 통신 내역 조회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김종인 국민의힘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이날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대통령은 이 문제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본인의 의사를 피력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같은 당 김기현 원내대표는 문 대통령에게 면담을 요구했다.
여당에서는 반론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이날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대선후보 토론회에서 “통신 조회는 검사장 승인만 있으면 가능한 상황”이라며 “수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라 공수처가 한 것으로 보인다. 윤 후보가 (검찰에) 있을 때 검찰에서는 (통신 조회를) 60만건 했다”고 지적했다.
같은 날 윤건영 민주당 의원도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공수처의 통신 조회에 대한 야당의 공세와 관련 “말도 안 되는 허무맹랑한 주장”이라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올 상반기 공수처는 (통신 조회를) 135건, 검찰은 60만건으로 검찰이 4444배나 더 많았다. 135건을 조회했다고 공수처 폐지 운운하면 (윤 후보가 검찰총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280만건을 조회한 검찰은 공중분해 해야 할 수준”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