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선언’ 바쁜 와중에 北, ‘정전협정 정의’ 소개해 눈길

  • 뉴스1
  • 입력 2021년 10월 29일 10시 14분


코멘트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담장(T2)의 모습. 2019.7.27/뉴스1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담장(T2)의 모습. 2019.7.27/뉴스1
북한이 한미를 중심으로 종전선언 논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정전협정’의 정의를 설명해 눈길을 끌었다.

29일 북한의 대외용 온라인 교육 채널인 ‘우리민족강당’은 ‘상식, 용어’란에 정전협정의 개념을 소개했다.

우리민족강당은 “정전협정은 적대적 군사행동을 정지할 데 대한 교전 쌍방의 합의”라며 “정전협정은 교전 쌍방이 적대적 군사행동을 그만두고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평화를 이룩하기 위하여 체결된다”라고 말했다.

이어 “정전협정에는 적대적 군사행동의 정지 지역과 시간 및 조건, 군사행동 재개를 방지하기 위한 군사정치적 조치 등 정전과 관련한 문제들이 규제된다”라며 “일정한 지역에서만 전투행동을 정지하기 위한 지역정전협정과 전 전선에 걸쳐 정전을 보장하기 위한 전반적정전협정이 있다”라고 덧붙였다.

우리민족강당은 대외 선전선동용 채널이라기보다는 해외에 있는 사람들이 북한에 대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이다.

때문에 정전협정에 대해서도 개략적인 개념만 소개하고 별도의 정치적 ‘주장’을 펼치지는 않았다.

다만 한미가 종전선언 논의를 바쁘게 진행하고 있고, 북한 역시 종전선언에 대해 “관심이 있다”라고 조건부 호응 가능성을 제기한 상황에서 종전의 대상인 한국전쟁의 정전협정의 개념을 소개한 것이 눈길을 끈다.

북한은 지난달 24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를 통해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조선반도의 불안정한 정전상태를 물리적으로 끝장내고 상대방에 대한 적대시를 철회한다는 의미에서의 종전선언은 흥미 있는 제안이고 좋은 발상”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다만 북한은 국방력 강화 문제에 대한 한미의 ‘이중기준’과 대북 적대 정책 철회가 종전선언 논의 이전에 필요한 것이라는 조건을 내걸고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