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세프 “北, 다롄-남포 해상운송 일시 중단…의약품 반입 차질”

  • 뉴스1
  • 입력 2020년 8월 19일 09시 14분


코멘트
경기 파주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북측 기정동 마을과 남측 대성동 마을에 각각 인공기와 태극기가 펄럭이고 있다. 2020.6.21/뉴스1 © News1
경기 파주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북측 기정동 마을과 남측 대성동 마을에 각각 인공기와 태극기가 펄럭이고 있다. 2020.6.21/뉴스1 © News1
유엔아동기금(유니세프·UNICEF)이 북한의 해상운송 차단 조치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물품과 필수 의약품의 북한 반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RFA(자유아시아방송)에 따르면 유니세프는 7월22일부터 8월14일까지 2주간 아시아 지역 국가에 대한 코로나19 관련 지원 활동을 종합한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코로나19 상황보고서 11호’를 공개했다.

유니세프는 보고서에서 7월 말 중국 다롄항과 북한 남포항 간의 해상운송을 일시적으로 중단한다는 북한 당국의 공식 통보를 받았다고 전했다. 유니세프는 이같은 조치가 대북 지원품 공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지 분명한 설명을 듣기 위해 북한 보건성과 접촉했다고 밝혔다.

다만 유니세프는 보건성과의 대화 내용은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다.

유니세프 북한 지부는 코로나19 관련 물품들과 백신, 필수 의약품에 대한 통관 및 환적 처리를 우선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해상운송 차단 조치에 대해 전문가들은 북한 주민들의 인권 문제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대니얼 워츠 전미북한위원회(NCNK) 국장은 RFA에 운송 차단 조치가 북한 전역에서 이어진다면 “국제기구들이 지속적으로 지원 물품을 북한에 보내기는 기능적으로 불가능해진다”며, 이는 북한 내 공공 보건과 식량안보 위기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몇 달 동안 북한의 국경 봉쇄가 점차 완화됐지만, 지난달 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노동당 정치국 회의에서 코로나19 방역조치에 대한 방심과 방관을 비판한 직후 북한이 다시 이러한 운송제한 조치를 강화한 것으로 추정했다.

미국 워싱턴 한미경제연구소(KEI)의 트로이 스탠가론 선임국장도 RFA에 “단기적으로 이러한 조치가 북한의 식량 수입능력을 감소시켜 현 식량안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유니세프는 이달 대북지원 관련 보고서를 통해 현재 평양에 단 3명의 외국인 직원만 남아있다고 전했다. 또한 북한 내 이동제한 조치로 올해 1월부터 지원 물품들에 대한 분배감시 활동을 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