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과정 쓸모 있어?” 김종인, 이번엔 ‘대학교육’ 전환 주장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6월 11일 18시 07분


코멘트
사진=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사진=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0년에 걸친 대학교육 과정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 과연 쓸모가 있느냐”며 대학 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주장했다. 또 교육 불평등이 계층 이동 사다리를 가로 막는다는 점을 지적하며 “평등을 주장하는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언급조차 없다”고 각을 세웠다.

11일 오전 김 위원장은 통합당 비대위 회의에서 “국내 대학 교육과정을 보면 학사 4년, 석사 2년, 박사 4년인데 이렇게 10년에 걸친 학문이 과연 쓸모가 있느냐”며 “대학 교육 과정도 새롭게 생각해 볼 필요성이 있지 않나”라고 말했다. 기본소득제, 데이터청 설립 등의 화두를 던졌던 김 위원장이 이번엔 대학교육 개혁 의제를 제기한 것이다.

김 위원장은 먼저 지금의 대학교육 체제가 산업혁신을 가로 막는 걸림돌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어제 발표된 애플사의 시가 총액(1조5000억 달러·약 1794조 원)을 보면 한국 국내총생산 규모(1919조 원·2019년 기준)와 비슷하다”며 “대학교육의 근본적 변화 없이는 초격차를 극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데이터사이언스 등 혁신산업 분야에서 국내 대학은 교수조차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음을 언급하며 대학 커리큘럼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한 것이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지금의 교육체제가 부의 대물림 문제를 만들고 있다고 분석한 뒤 화살을 집권여당인 민주당으로 돌렸다. 그는 “현재의 교육 시스템이 교육 불평등을 고착화하고, 사교육 시장이 커져서 공교육이 무력화되고 있다”며 “평등을 주장하는 더불어민주당에선 교육 불평등에 대한 언급이 없다. 통합당은 이를 과감히 지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국회 차원에서 교육혁신특별위원회를 설치해 공교육 무력화에 대응하자고 제안했다.

이날 비대위 비공개 회의에서는 위원들 사이에서 법학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등에 대한 문제점도 언급됐다고 한다. 대학 교육마저 사교육에 영향을 받고 있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한편 이날 통합당 비대위는 경제혁신위원회를 공식 출범시켰다. 윤희숙 통합당 의원이 위원장을 맡았고, 12명의 위원이 구성됐다. 이영 의원과 윤창현 의원을 제외한 10명의 위원은 연금, 재정, 노동, 보건, 정보통신 분야의 외부전문가들로 꾸려졌다. 김은혜 비대위 대변인은 “기본소득을 포함한 교육, 복지 패러다임의 전환과 재정건전성 강화를 통한 사회보장제도 지속가능성을 짚어 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준일기자 ji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