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파국준비 시그널에 美 군사옵션 거론…‘강대강 대치’ 우려

  • 뉴스1
  • 입력 2019년 5월 1일 20시 33분


코멘트

北최선희 “美경로변경? 우리도 선택할 수” 경고
북미, 언론 통해 기싸움 지속…교착 장기화 하나

© News1 DB
© News1 DB
북한이 최근 비핵화 협상 파국에 대비한 듯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북미 모두 잇따라 ‘새로운 길’을 경고하고 나섰다. 2월 하노이 결렬 이후 공식 대화를 중단한 양측이 연말 시한까지 강대강 대치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 시사주간지 뉴요커는 30일(현지시간) 백악관 당국자를 인용해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 하노이 정상회담 시작 전부터 실패를 예견했고 대북 군사적 옵션을 여전히 실행 가능한 안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볼턴 보좌관은 하노이 직전 사석에서 측근에게 “우리는 북한 무기 대부분이 어디에 있는지 안다. 그들의 핵 능력을 파괴할 수 있다”면서 “거기까지 가지 않기를 바라지만 군사적 옵션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문제의 기사는 최근 북미 모두 ‘비핵화 협상 실패’ 시 상황을 언급하며 서로를 향해 날을 세우고 있던 상황과 맞물려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사실관계와 관련 없이 상당한 대북 압박성 의도가 엿보인다는 것이다.

실제 볼턴 보좌관은 자신의 트위터에서 해당 기사에 대해 “수년 간 본 적도 대화한 적도 없는 내게 적의를 품은 전직 직원을 인용하고 있다”면서 “내 견해와 배치된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경로 변경’ 발언 일주일만에 나온 해당 보도는 올해 연말까지를 대화 시한으로 설정한 채 배수진을 치고 있는 북한을 또 한번 자극하기 위한 측면이 있어 보인다.

폼페이오 장관은 24일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비핵화 협상이 실패한다면 우리는 분명히 경로를 변경해야 할 것”이라며 사실상 대화 기조를 뒤집고 군사적 옵션을 선택할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북한도 즉각 반응했다.

하노이 이후 전면에서 스피커 역할을 하고 있는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은 30일 조선중앙통신 기자와의 문답에서 “(경로변경은) 미국만의 특권이 아니며 마음만 먹으면 우리의 선택이 될 수도 있다”면서 “시한부 내에 자기 입장을 재정립해가지고 나오지 않는 경우 미국은 참으로 원치 않는 결과를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물론 최 부상의 문답은 외무성 담화나 대변인 성명 등 보다 수준이 낮은 기자 문답 형식에 비핵화 의지를 재차 확인하는 등 발언 수위를 조절한 듯한 정황도 감지된다.

하지만 하노이 이후 ‘자력갱생’을 강조하며 사실상 대미 장기전 태세를 공식화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대화 시한을 연말까지로 못 박은 채 러시아와 밀착하는 행보를 보인 것은 북미협상 파탄에 대비한 측면이 있다는 분석이다.

김 위원장이 북러정상회담을 통해 비핵화 시 ‘북한의 체제 안전보장’필요성을 확인받은 것도 내년 미 대선을 염두에 두고 트럼프 행정부가 제공하기엔 한계가 있는 ‘안전보장’ 조치들을 먼저 요구하는 것으로 프레임을 전환, ‘배수진’을 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북측으로선 시한인 연말까지 군사적 상응조치 요구 수위를 높여가다 미국이 끝내 태도를 바꾸지 않을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을 보면서 비핵화 협상 파트너를 중국이나 러시아로 바꿀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최근 북한 내 최고 실세였던 ‘백두혈통’ 김여정 당 선전선동부 제 1부부장이 공식석상에서 자취를 감춘 것도 출구전략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 1부부장은 그간 국면에서 의전을 넘어 북미협상 등 국정 운영 전반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음을 노출해왔다. 북미협상이 불확실해지면서 파국을 대비해 김여정의 노출을 피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다는 해석이 나온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