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표 “대기업·공공 정규직 노조, 3~5년 임금인상 자제해야”

  • 뉴시스
  • 입력 2019년 3월 11일 10시 14분


코멘트

"광주형 일자리, 카풀-택시 서비스 등 사회적 대타협 가능성 시작"
"임금체계 개혁, 임금체계 단순화, 공공부문에 임금공시제도 도입"
"제조업 총체적 위기…소재 R&D 투자·스마트공장 확대 등 경쟁력↑"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우리 사회의 일자리 양극화가 심각한데 대통령과 정부의 힘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 해법은 사회적 대타협 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11일 국회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최근 우리는 사회적 대타협의 가능성을 만들기 시작했다. 지난 1월 광주지역 노사민정은 광주형 일자리에 합의했다“며 ”탄력근로제와 카풀-택시 서비스도 극적으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홍 원내대표는 노동시장 구조 개혁을 위해 임금체계 개혁, 임금체계의 단순화, 공공부문에 임금공시제도 도입을 꼽았다.

그는 ”대기업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를 줄여야한다“면서 ”고임금을 받는 대기업, 대기업공공부문 정규직 노조가 3년 내지 5년간 임금인상을 자제하는 결단을 내려줘야 한다“면서 SK하이닉스의 협력사와 임금을 공유하는 상생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이어 ”국내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가 기형적이다. 기본급은 최소화하고 각종 성과급과 상여금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라며 ”호봉급 비중을 줄이고, 직무급과 직능급을 확대해야 한다. 경기나 실적 변동을 반영해 성과급을 지급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공공부문에 임금공시제도를 도입해 직종별, 직무별, 직급별 수당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임금체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겠다“고 약속했다.

홍 원내대표는 제조업 르네상스 전략 추진과 지역상생형 일자리 확산도 강조했다. 그는 ”제조업의 총체적 위기도 초래했다. 조선 산업이 구조개혁 실패로 순식간에 위기를 맞았다. 반도체도 언제 중국에 따라잡힐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030년까지 매년 1조원씩 소재 및 부품산업 R&D에 투입,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 전지 투자도 늘리겠다“며 ”스마트공장은 올해 4000개에서 2022년 3만개로 대폭 확대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아울러 광주형 일자리와 같은 지역상생형 일자리도 확산을 강조하며 ”기업경쟁력을 고려한 노동자의 적정임금과 함께 정부와 지자체가 주거 등 생활비 부담을 줄여주어야 한다“며 ”이를 통해 한국 제조업은 새로운 활로를 열 수 있고, 해외로 나간 기업을 국내로 다시 불러들일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