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백두산에 ‘화산 관측소’ 구축 방안 추진키로

  • 뉴스1
  • 입력 2018년 10월 26일 10시 40분


코멘트

설훈 “공동연구 위해 기상청 추진…인도적 협력 기대”

백두산 일출(임흥빈 산악사진가 제공) © News1
백두산 일출(임흥빈 산악사진가 제공) © News1
기상청이 백두산에 남북 공동 ‘화산 관측소’ 구축 방안을 수립한 것으로 26일 확인됐다.

기상청의 이같은 방안은 백두산 화산 분출 시 주변에 끼칠 막대한 인명·재산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그간 중국 주도로 화산 연구가 진행되는 등 북한의 자체 연구는 취약한 상황이어서 남북 협력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상청에서 입수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 따른 기상·기후·지진 분야 단기 및 중장기 협력과제(안)’을 보면 기상청은 조만간 백두산 화산활동 가능성을 진단하기 위해 남북 공동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남북은 항구적인 관측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1단계로 지각 움직임을 관측할 수 있는 화산관측장비와 통신망을 구비해 공동 관측소를 운영할 계획이다.

2단계로 공동 관측소 안에 땅속 마그마 움직임에 따라 미세하게 변동이 일어나는 지구의 자기장을 측정할 장비와 화산가스 및 암석시료 분석 시설도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백두산은 화산이 언제든지 분출할 수 있는 ‘활화산’으로 분류된다. 국내외 학자들은 백두산 분화주기를 100~200년 정도로 보고있다.

역사서에는 고려시대인 946년 대분화 이후 조선시대 들어서도 1413년, 1597년, 1668년, 1702년에 이어 1898년에도 분화한 것으로 나온다. 기록상 마지막 분화는 1903년이다. 이후로 현재까지 백두산은 115년간 분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백두산 천지에는 여전히 김이 모락모락 나는 온천물이 쉴 새 없이 올라온다. 다시 분화가 된다면 용암류와 자갈·돌멩이 등이 섞인 화산쇄설류에 의한 1차 피해와 화산재 확산에 따른 2차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한다.

현재 기상청은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해 백두산 지표 온도와 천지 면적·수위를 분기별로 분석해 변화상을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현지 관측자료 수집에 어려움이 있어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가 힘들다.

앞서 2007년과 2011년 개성 등지에서 남북기상협력실무접촉회의와 남북화산대응전문가회의 등이 소집돼 남북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으나,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백두산 현지 답사조차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반면 북한과 국경이 맞닿은 중국은 화산 폭발에 대비해 연구가 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1999년부터 백두산에 천지화산관측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백두산 반경 50㎞ 이내에 지반 움직임을 측정하는 GPS 관측점 16곳, 지진관측소 11곳, 화산가스 측정지점 3곳을 설치해 분화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설훈 의원은 “비정치적인 기상 분야에서의 인도적 협력을 통해 남북의 신뢰관계가 회복될 수 있다”면서 “기상 분야 업무 격차가 해소되면 자연재해 공동대응 등 상호 이익도 추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