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폭침 1년]“미안하다, 형의 소주 한잔 받으렴”

  • Array
  • 입력 2011년 3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천안함 폭침 26일로 1년… 46용사 잠든 서해바다를 가다

바다엔 다시 봄이 왔지만… ‘천안함 폭침사건’ 1주기를 앞둔 19일 희생장병들의 유족들이 사건 해역인 백령도 앞바다를 찾아 국화꽃을 바다에 던지며 희생장병 들의 넋을 달래고 있다. 왼쪽부터 고 최정환 상사의 매형 이정국 씨, 고 민평기 상사의
큰형 광기 씨, 고 정범구 병장의 이모부 송민석 씨. 백령도=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바다엔 다시 봄이 왔지만… ‘천안함 폭침사건’ 1주기를 앞둔 19일 희생장병들의 유족들이 사건 해역인 백령도 앞바다를 찾아 국화꽃을 바다에 던지며 희생장병 들의 넋을 달래고 있다. 왼쪽부터 고 최정환 상사의 매형 이정국 씨, 고 민평기 상사의 큰형 광기 씨, 고 정범구 병장의 이모부 송민석 씨. 백령도=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검푸른 바다는 1년 전과 똑같았다. 무심한 갈매기 떼는 산 자의 슬픔은 알지 못한 채 허공을 맴돌았다. 19일 오전 인천 옹진군 백령도 장촌포구에서 북서쪽으로 약 6km 떨어진 푸른 바다. 지난해 3월 26일 북한의 공격으로 우리 해군 초계함인 천안함이 침몰해 46용사가 산화한 곳이다. 동아일보는 천안함 폭침 1년을 앞두고 천안함46용사유족협의회 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고 최정환 상사의 매형 이정국 씨(40), 고 민평기 상사의 큰형인 광기 씨(41), 고 정범구 병장의 이모부 송민석 씨(48)와 함께 백령도를 찾았다.

거센 파도를 맞으며 30여 분간 달리던 배가 천천히 멈춰 섰다. 선장 장세광 씨(35)는 손가락을 바다위로 가리키며 “이곳이 지난해 천안함이 침몰한 곳”이라고 말했다. 유가족들은 높은 파도로 배가 심하게 흔들리는 가운데에서도 위령제를 지내기 위해 가져온 음식을 선수에 진열했다. 각종 과일과 초콜릿 사탕…. 민 씨는 47개의 빈 잔에 소주를 가득 부었다. 숨진 46용사와 수색 작업 도중 숨진 고 한주호 준위를 위한 잔이다.

“평기야, 미안하다. 1년이 지나서야 형이 왔다….”

물끄러미 바다만 바라보던 민 씨가 끝내 눈물을 흘리자 함께 묵념을 올리던 이 씨와 송 씨의 눈가에도 이슬이 맺혔다. 유가족들은 한동안 말을 잇지 못한 채 서로를 감싸 안고 흐느껴 울기만 했다. 유가족들은 47잔의 소주잔을 바다에 흩뿌린 뒤 하얀 국화 47송이를 한 송이씩 바다에 던지며 천안함 46용사와 한주호 준위의 넋을 달랬다.
▼ “숭고한 그 영혼, 자유대한의 수호신 되라” ▼

민 씨는 이 자리에서 밤새 동생을 위해 쓴 편지를 주머니에서 꺼내 낭독했다.

천안함이 침몰했던 해역 근처인 백령도 연화리에 설치된 ‘천안함 46용사 위령탑’에 헌화하고 있는 고 정범구 병장의 이모부 송민석 씨. 백령도=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천안함이 침몰했던 해역 근처인 백령도 연화리에 설치된 ‘천안함 46용사 위령탑’에 헌화하고 있는 고 정범구 병장의 이모부 송민석 씨. 백령도=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네가 떠난 후 다시는 올 것 같지 않았던 봄이 다시 찾아 왔구나. 보고 싶구나. 나에게는 야속한 바다지만 너에게는 영원한 국토수호의 해군이 된 바다. 너의 영원한 임무가 국민의 가슴에 파도가 됐다. 고맙다. 사랑한다. 미안하다. 너의 근무지에서 형이.”

장촌포구로 돌아오는 길. 가족을 그리워하는 유가족들의 마음은 절절했지만 바다는 여전히 말이 없었다. 오직 검은 바다 위에 점점이 떠 있는 하얀 국화꽃들만 ‘여기서 우리가 나라를 지키고 있다’고 말하고 있었다.

위령제에 앞서 유가족들은 18일 오후 천안함 폭침 당시 초병이 물기둥을 처음으로 관측한 지점이자 사건 해역과 가장 가까운 연화리 야산을 찾았다. 이곳에서는 해군이 27일 제막식을 열 예정인 ‘천안함 46용사 위령탑’ 건설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자리에는 지난해 천안함이 침몰하자 해군 홈페이지에 ‘772함 수병은 귀환하라’는 제목의 시를 올린 동아대 의대 김덕규 교수(56·내분비내과)도 동행했다. 막바지 조경공사가 한창인 높이 8.7m 규모의 위령탑은 대리석으로 만든 3개의 삼각뿔 모양으로 각각 영해와 영토, 국민을 지키겠다는 정신을 형상화했다. 위령탑 중앙 하단 보조탑에는 46용사의 얼굴이 새겨진 동판 부조를 부착했다. 비문에는 ‘비록 육신은 죽었다 하나 그 영혼, 역사로 다시 부활하고 국민의 가슴 속에 영원히 살아 자유대한의 수호신이 되라’는 글귀가 새겨졌다.

유가족들은 위령탑에 국화꽃을 헌화한 뒤 46용사의 부조를 일일이 어루만지며 손끝으로나마 이제는 볼 수 없는 가족을 그리워했다. 유가족들은 “아직도 천안함 폭침 원인을 놓고 이념적 갈등을 빚고 있는 것이 걱정”이라며 “천안함 폭침은 북한의 소행임이 명백하게 밝혀진 사안”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김 교수도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은 6·25전쟁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상기시켰다”며 “무고한 목숨을 앗아간 북한이 항상 총부리를 겨누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령도 주민들도 천안한 폭침 1주년을 맞아 다양한 추모행사를 계획하고 있다. 북포초교는 23, 24일 위령탑을 찾아 천안함 46용사 추모 행사를 열 예정이다. 또 수업 시간에 ‘천안함 46용사와 유족에게 편지 보내기’와 같은 안보교육을 하고 있다. 주민자치위원회와 부녀회는 위령탑 제막식을 준비하느라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김정섭 백령면장은 “지난해 천안함 폭침 현장을 가장 가까이서 지켜본 주민들은 46용사의 안타까운 희생을 잊지 않고 있다”며 “매년 46용사를 추모하는 행사를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백령도=황금천 기자 kchwang@donga.com@@@@
강경석 기자 coolup@donga.com@@@@
@@@@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