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대안 제시 연내로 앞당긴다

  • 동아일보
  • 입력 2009년 11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與 수뇌부 “분란방치 안된다”
내일 총리공관서 당정협의회
한나라 특위도 13일께 출범
일각 “졸속논란 일것” 지적


여권은 당초 내년 1월까지 제시하기로 한 세종시 대안을 연내로 앞당기기로 했다.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 정운찬 국무총리, 정정길 대통령실장 등 당정청 수뇌부가 8일 총리공관에서 비공개 회동을 갖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권태신 국무총리실장도 9일 국토연구원장과 행정연구원장, 한국개발연구원장과 가진 간담회에서 “(세종시 대안) 연구기간을 최대한 단축해 달라”고 주문했다. 당정청은 11일 총리공관에서 고위 당정협의회를 열어 세종시 수정안 등을 집중 논의하기로 했다.

한나라당도 4선의 정의화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당내 세종시 특위를 13일경 출범할 예정이다. 세종시 대안을 준비하는 여권의 움직임이 급물살을 타고 있는 양상이다.

○ 다급해진 한나라당

“시간을 끌면 끌수록 불리해진다.”

한나라당의 한 핵심 당직자는 9일 세종시 정국을 이같이 전망했다. 정부가 세종시 대안 제출 시기를 연내로 앞당긴 배경을 설명한 자리에서였다. 야당의 공세뿐만 아니라 한나라당 내 친이(친이명박), 친박(친박근혜)계의 갈등을 더 방치할 수 없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당초 한나라당에선 정부가 일단 세종시 수정 방안을 내놓을 때까지 기다려 보자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정 대표와 안상수 원내대표가 세종시 원안 수정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원안 고수 당론에 변함이 없다는 원칙론을 거듭 강조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10·28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굳이 야당과 충청권을 자극해 세종시 문제를 이슈화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도 있었다.

그러나 박근혜 전 대표가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원안+α’ 발언을 하고 일부 친이계 의원이 세종시법 개정안을 제출하면서 당내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재·보선 패배에 이어 세종시 수정에 우호적이던 여론도 요동치기 시작했다. 당내에선 “내년 6월 지방선거마저 포기할 것이냐”는 불만의 목소리도 높아지기 시작했다. 어차피 마주해야 할 세종시 문제라면 대안을 일찍 내놓고 풀어야 한다는 ‘속전속결론’이 힘을 얻게 된 것이다.

○ 정치 일정 감안하면 연내에 세종시 방안 확정해야

한나라당이 속도전에 나선 배경엔 당면한 정치적 일정도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내년 1월에 세종시 대안이 나오더라도 연초 분위기와 설(2월 14일) 연휴 등이 겹쳐 실제 여론수렴까지는 시간이 더 늦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야당의 공세는 더 거세지고 당내 갈등만 증폭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정부가 세종시 대안을 내놓으면 국회의 관련법 개정 논의와 함께 이 대통령이 직접 대국민 설득에 나서야 하는 정치적 절차가 남아 있다. 자칫 시간을 더 늦추면 내년 6월 지방선거 전까지 세종시 문제가 표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여권 수뇌부는 정부가 만든 방안이 여론과 충청권을 충분히 설득하지 못할 경우 방향 재수정을 위한 시간까지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김기현 기자 kimkihy@donga.com
이유종 기자 pen@donga.com
정원수 기자 needj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