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광풍]민주계,「실세」자만심이 몰락위기 자초

  • 입력 1997년 2월 12일 20시 23분


[김동철기자] 민주계가 집권한지 불과 4년만에 총체적 몰락 과정에 들어선 배경은 매우 복합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가장 핵심요인은 金泳三(김영삼)대통령의 국정운영방식으로 집약된다. 김대통령은 취임초기부터 강력한 리더십으로 개혁과 사정을 밀고 나갔으나 「독주」의 성격이 짙었을 뿐 아니라 공조직이나 제도적 기반이 취약한 반면 「측근정치」 등 사적(私的) 의사결정구조에 의존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불러일으킨 것이 문제였다. 이에 따른 부작용은 드러난 것만도 한두가지가 아니었다. 정권장악후 「과실(果實)」을 나누는 과정에서부터 민주계 내부는 파열음을 냈다. 현정권창출의 「창업공신」이라할 수 있는 崔炯佑(최형우) 徐錫宰(서석재) 金德龍(김덕룡)의원 등 민주계 세 핵심실세 사이에는 정권 출범초기부터 반목과 질시가 싹텄다. 이같은 과정에서 민주계의 「자질론」과 국정운영능력에 대한 시비는 계속됐고 김대통령은 민주계의 핵심실세를 「적재적소(適材適所)」가 아니라 차례로 요직에 앉히는 식으로 권력을 안배하는 행태를 보였다. 여기에 부작용을 더한 것이 민주계 인사들의 「도취감」과 「부패상」이었다. 이른바 「나눠먹기식」 자리안배로 인해 능력보다는 「실세」라는 이름을 더 즐기며 관료나 재벌 등 기업인들의 이권청탁을 별다른 사후고려나 국정운영에 대한 사명감없이 덥석덥석 받아들였다는 인상이 짙다. 심지어 집권초기 민주계 인사들은 『이런 맛이 없이 뭐하러 정권투쟁을 했겠느냐』는 농반진반(弄半眞半)의 얘기를 서슴없이 하기도 했다. 건전한 비판도 수용하기를 거부하는 민주계 사람들의 행태도 추악한 몰락의 주요 배경이 됐다고 볼 수 있다. 민주계 사람들은 과거 민주화 투쟁경력을 마치 「훈장」처럼 과시하며 의혹과 비판의 시각이 제기될 때마다 『우리는 문민정권이다. 과거와 같은 잣대로 보지 말라』며 스스로 성역시(聖域視)하는 행태를 보여왔다. 이같은 행태는 당연히 오만과 방만으로 이어졌고 권력의 허점만을 호시탐탐 노리는 관계나 업계의 접근을 즐기며 부패나 비리에 둔감한 문제점을 안기에 이르렀다. 다른 사람도 아닌 김대통령의 측근 중 측근이라 할 수 있는 洪仁吉(홍인길)의원이 현직을 떠난 뒤에도 행정부나 경제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도 바로 이러한 민주계의 속성에 기인한 귀결이다. 뿐만 아니다. 권력핵심이 아닌 자리에 있는 일부 민주계 사람들에게도 이권개입 유혹을 뿌리칠 이유가 별로 없었다. 윗물이 탁하면 아랫물도 탁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