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지방근무 교사, 맞춤형 인센티브로 ‘임용 양극화’ 해소하라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9월 27일 00시 00분


코멘트
결국 ‘임용 절벽’이 아니라 ‘임용 양극화’가 문제였다. 2017학년도 전국 17개 시도별 초등교사 임용시험 일반선발 경쟁률은 1.41 대 1이었지만 강원 경북 충남 충북은 3년 연속 미달, 전남은 2년 연속 미달을 기록했다. 242명을 선발할 계획이었던 강원도는 최종적으로 109명만 선발했다. 그러니 임용고시 합격자를 늘려달라는 서울교대 학생 시위가 “지방 가기 싫다”는 투정으로 비치며 취업준비생의 공분을 자아낸 것이다.

그러나 농어촌 산간 도서벽지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열악한 실태를 보면 지방근무를 꺼리는 예비교사들에게 손가락질할 수만은 없다. 전남 여수시 금오도 소재 여남초등학교의 경우 지어진 지 30년이 넘는 관사는 곰팡이가 피어오르고 난방이 잘 안 돼 겨울엔 털모자를 쓰고 자야 한다. 지난해 전남 신안 섬마을에서 여교사가 마을주민 3명으로부터 성폭행을 당한 것만 봐도 무서워서 누가 도서벽지로 가려고 하겠는가.

수도권과 1일 생활권인 강원 충남 충북 지역은 교사 이탈이 심각하다. 강원 춘천시 남춘천초등학교는 교사 26명 가운데 4명이 ITX를 타고 출퇴근을 한다. 지난해에만 강원도 교사 90여 명이 임용시험을 새로 봐서 수도권 등으로 옮겨갔다. 최근 5년간 초등교사 임용시험 응시자 10명 가운데 2명이 지방에 근무한 현직 교사라는 통계가 교사 이탈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비단 허술한 관사나 교통 문제만이 아니다. 학생 수가 적은 ‘미니학교’일수록 인접한 학년을 한 교실에 모아서 가르치는 복식학급이 많아 수업이 어렵다. 특수학교가 없어 장애인 학생도 맡아야 한다. 똥오줌을 못 가리는 장애 학생의 똥을 치우느라 수시로 고무장갑을 껴야 했다는 교사 증언을 들으면 우리 사회가 사명감만으로 예비교사에게 열악한 지역으로 가라고 요구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물론 열악한 농어촌과 도서벽지 환경에서도 묵묵히 땀을 흘리며 사표(師表)가 되는 스승들이 있다. 사학연금으로 노후를 보장받으면서도 양지에만 머무르려는 일부 교사들의 행태도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그럼에도 지방 교사 부족은 교사 개인의 삶의 질 문제를 넘어 학생의 교육권을 위협한다. 교육 기회 균등 차원에서라도 교사의 지방근무를 지원해야 한다. 교사가 가장 원하는 도서벽지 근무 가점을 파격적으로 올리고 연수 기회를 우선 제공하는 등 맞춤형 인센티브를 마련해야 한다. 관사 등의 개·보수에 필요한 예산도 지원해야 한다. 교사가 행복해야 학생도 행복한 법이다.
#임용 양극화#지방근무 교사#임용 절벽#지방 교사 부족#교사 개인의 삶의 질 문제#교사 맞춤형 인센티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