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박성원]미 대사가 다시 읽는 ‘두 개의 한국’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3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박성원
브루스 커밍스의 저서 ‘한국전쟁의 기원’(1981년)은 반공주의에 치우친 기존 연구에서 탈피해 6·25전쟁의 구조적 기원을 파고들었다는 학계의 평가를 받았다. 커밍스는 식민지와 냉전, 계급갈등을 분석하고 미국과 한국이 북한의 남침을 유도했다는 남침유도설을 편 ‘수정주의’ 사관을 국내에도 광범위하게 퍼뜨렸다. 하지만 러시아 문서보관소에서 발견된 옛 소련의 기밀문서를 통해 북한의 남침 사실이 확인되면서 커밍스의 이론적 토대는 무너졌다.

▷노무현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낸 윤영관 서울대 교수는 ‘한국전쟁의 기원’을 외국인이 한국인보다 한국 문제에 대해 더 큰 열정을 갖고 방대한 자료를 소화·정리한 책으로 평가한다. 윤 장관이 평가한 또 하나의 책은 워싱턴포스트지 기자 출신 돈 오버도퍼 미국 존스홉킨스대 교수가 쓴 ‘두 개의 한국(The Two Koreas)’이다. 광복 이후 남북한 역사뿐 아니라 양측의 갈등과 긴장에 세계열강이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분석한 이 책은 객관적 시각에서 쓴 한반도 정치외교사의 필독서로 꼽힌다.

▷미국 명문 프린스턴대를 졸업한 오버도퍼는 6·25전쟁 중 포병 중위로 한국에 첫발을 들여놓았다. 그의 책 서문에는 전쟁 중 부산에서 꾀죄죄한 몰골을 한 아이들이 헌병들의 눈을 피해가며 미군 사병들에게 구걸을 하는 모습이 나온다. 그는 오랜 기간 언론인으로서 관찰과 연구를 토대로 베트남전과 미국-소련의 냉전외교에 관한 저술도 남겼다.

▷마크 리퍼트 주한 미대사가 피습 이후 입원 중이던 서울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두 개의 한국’을 다시 꺼내들고 탐독하고 있다. 리퍼트 대사는 예전에도 이 책을 읽은 적이 있지만 다시 한반도 역사, 오늘날 한국에서 있었던 일을 복기하는 차원에서 읽고 있다는 게 공보관의 설명이다. 그는 서울 한복판에서 김기종이 휘두른 과도에 삶과 죽음을 넘나들면서 코리아를 더 알아야겠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정작 대한민국에 태어나서 살고 있는 우리는 과연 ‘두 개의 한국’을 얼마나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일까?

박성원 논설위원 swpark@donga.com
#한국전쟁의 기원#리퍼트 피습#두 개의 한국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