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손택균]나는 괜찮겠지, 나는 아니겠지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7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손택균 문화부 기자
손택균 문화부 기자
‘번쩍’ 플래시가 터졌다.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을 촘촘히 메운 3000여 명의 관객이 일순 환호를 멈췄다. 폭우처럼 쏟아지는 박수를 온몸으로 받아 안으며 무대 위에 홀로 두 손을 모으고 수줍게 서 있던 은발 피아니스트의 얼굴이 살짝 일그러졌다.

잠깐 고민하는 듯하던 연주자는 잠시 후 희미한 미소로 미간 주름을 털어내며 피아노 앞에 다시 앉았다. 그가 피아노 쪽으로 걸음을 옮기자마자 터져 나온 박수와 환호는 좀 전의 몇 배나 두툼하고 무거웠다. 관객들의 안도와 감사, 미안한 마음이 더해진 무게였다.

2년 전 재즈피아니스트 키스 재릿의 솔로내한공연 막바지에 벌어진 일이다. 입장 때 나눠준 공연안내문에는 ‘연주자가 사진 촬영을 극도로 꺼립니다. 플래시가 터져 공연을 중단한 적도 있습니다. 자제 부탁드립니다’라고 맨 위에 굵은 글씨로 쓰여 있었다.

이달 초 막을 올린 손숙 주연의 연극 ‘안녕, 마이 버터플라이’ 초반부. 행사장 소감 발표 장면을 연기하던 배우 김원해가 갑자기 재킷 주머니에서 전화기를 꺼냈다. “어? 뭐라고? 아냐, 나 연극 봐…. 술 먹는 거 아니라고! 연극 본다고 연극! 여기? 예술의 전당! 손숙 나오는 연극! 끊어!”

쿡쿡 웃음소리 새어나오는 객석을 잠시 묵묵히 바라보던 그가 체념 섞인 어조로 말했다. “바로 어제 이 시간, 이곳에서 일어났던 상황입니다. 여러분, 정말… 휴대전화 다 끄셨죠?” 관객들이 입을 모아 대답했다. “예에.”

50여 분 뒤. 딸을 잃은 슬픔에 몸부림치며 절규하는 주인공의 긴 흐느낌을 객석의 소리 하나가 톡 비집고 들어와 끊었다. 작고 짧으나 명료한 소리였다. “문자 왔숑.”

역시 이달 초 나란히 선보인 국내 초연 뮤지컬 화제작 ‘스칼렛 핌퍼넬’과 ‘하이스쿨뮤지컬’ 시작 전에는 애처로운 신신당부 안내방송이 길게 이어졌다. 상냥한 목소리가 스피커 속에서 허리를 90도로 굽히고 있는 듯 들렸다. “정말, 꼭 좀 꺼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휴대전화 벨 소리는 무대 위 배우의 연기와 노래에 곧바로 큰 영향을 줍니다.”

스칼렛 핌퍼넬의 애절한 사랑가는 “문자 왔숑” 한 방에 허리가 끊겼다. 하이스쿨뮤지컬 옆자리에 앉은 초등학생의 어머니는 연신 스마트폰 불빛을 밝히며 노래 정보를 검색해 아이 코앞에 들이밀며 말했다. “지금 저 노래 제목이 영어로는 ‘What I've Been Looking For’래. ‘look for’가 무슨 뜻이라고 했지?”
‘아티스트’ 상영관은 인내심과의 싸움터였다. “삐리릭. 뾰로롱. 띠링. 문자 왔숑.” 한 영화수입 배급사 관계자는 “사전시사회 때 참석자 휴대전화를 수거해 보관하지 못하는 나라는 한국뿐이다. 시사회 참여자들의 거부 사유는 ‘프라이버시 침해’다”라고 말했다.

나와는 무관한 문제일까. 나는 그런 몰지각한 사람이 아닐까.

‘그래, 나부터가 문제였어. 무조건 끄자. 두 시간만.’

한 사람씩 그렇게 마음먹을 때 공연장은 더 행복해질 거다. 아주 조금씩일지라도.

손택균 문화부 기자 sohn@donga.com
#휴대전화#공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