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한-인도, 정상회담 계기로 윈윈 기회 확대를

  • 동아일보
  • 입력 2010년 1월 26일 03시 00분


인도를 국빈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과 만모한 싱 인도 총리가 어제 정상회담에서 양국 관계를 ‘장기적 협력 동반자 관계’에서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시켰다. 앞으로 정치 외교 안보 분야의 협력이 강화되고 다양한 대화채널도 갖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최고 수준인 인도의 첨단 국방과학기술과 한국의 기초방산기술의 시너지 효과도 추구할 만하다.

경제 협력의 확대는 가시권에 들어왔다. 두 정상은 지난해 114억 달러인 양국 교역량을 2014년까지 300억 달러로 늘리기로 했다. 1일 발효된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을 잘 활용해야 한다. 두 정상은 우리 기업이 인도의 원자력발전 시장에 진출하는 데 필수적인 원자력 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 개시에도 합의했다. 아랍에미리트(UAE)에서처럼 인도에서도 원전을 수주할 수 있도록 국가적 역량을 모을 때다. 인도는 원전 17기를 가동 중이고 6기를 건설 중이며 2035년까지 50기를 건설할 계획이어서 우리에게도 큰 도전 대상이다.

한국은 제조업, 인도는 서비스산업이 강해 양국이 윈윈 관계를 구축하기에 좋은 여건인데도 지금까지는 협력이 미흡했다. 인도는 세계 2위의 인구(12억 명)와 구매력 기준으로 세계 4위의 시장을 가진 대국임에도 인도에 대한 우리의 무역 및 투자 진출은 경쟁국들에 못 미쳤다. CEPA가 인도 시장을 활짝 열어놓더라도 국내 기업이 더 적극적으로 뛰지 않으면 충분한 효과를 거둘 수 없다. 인도 현지 기업과 접촉 중인 한국 무역투자사절단부터 진출 구상을 현실로 만들어나가야 한다.

인도는 경제규모에서 2025년경 일본을 추월하고 2040년대에는 미국을 앞질러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경제대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성장잠재력에서 최고의 시장이며 외국기업 유치에 적극적이므로 우리 기업의 직접투자 진출 전략도 심화할 필요가 있다. 고소득층을 겨냥한 투자 외에 전체 가구의 90% 이상인 중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의식주 등 전통제조업과 개방이 가속화될 유통시장에 주목할 만하다. 현지 투자에는 인프라 부족, 관료주의, 부패, 상관습과 신뢰도 차이 등의 여건도 감안해야 한다.

인도를 수출대상국 또는 내수시장을 노린 투자대상국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양국이 윈윈 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인도의 산업 및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투자와 인프라 개선 투자는 현지에서 환영받을 분야다. 한국의 강점인 하드웨어와 인도의 강점인 소프트웨어를 결합시키는 투자도 매력이 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