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CA협의체 5개 위원회 설치…검증 체계 강화한 투자 프로세스 정립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2월 13일 20시 49분


코멘트
카카오그룹 컨트롤타워인 카카오 CA협의체가 산하에 5개 위원회를 설치한다. 아울러 신규 투자 집행과 지분 매각 시 CA협의체 검토를 받도록 프로세스도 강화한다.

카카오 CA협의체는 13일 그룹협의회를 열고 CA협의체 산하에 △경영쇄신위원회 △전략위원회 △브랜드커뮤니케이션위원회 △ESG위원회 △책임경영위원회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CA협의체는 카카오 그룹의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컨센서스를 형성하는 독립 기구다.

경영쇄신위는 기존대로 김범수 의장이 위원장을 맡아 그룹 전체 변화와 혁신을 주도한다. 전략위원회는 정신아 카카오 대표 내정자가 맡아 그룹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핵심 현안과 핵심성과지표(KPI), 투자 등을 검토한다.

카카오 그룹의 브랜드 및 메시지 전략 강화를 위해 신설된 브랜드커뮤니케이션위원회의 위원장에는 이나리 전 컬리 커뮤니케이션 총괄 부사장을 선임했다. 이 위원장은 삼성그룹 제일기획 상무,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디캠프 초대 센터장, 중앙일보 논설위원 등을 역임했다.

ESG위원회는 권대열 위원장이 맡는다. ESG위원회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 및 사회와 소통하면서 카카오 관계사의 준법·윤리경영을 감시할 외부 기구인 ‘준법과 신뢰 위원회’와 협업한다. 정기 감사와 컴플라이언스, 윤리, 법무 이슈를 다루는 책임경영위원회는 당분간 권 위원장이 겸임한다.

각 위원회는 영역별로 그룹 차원에서 논의해야 할 어젠다를 발굴하고, 방향성과 정책 관련 의견을 제시하게 된다. 위원장은 이를 바탕으로 각 협약 계열사에 참고 및 권고 의견을 결정하고, 담당 분야에 대한 그룹차원의 문제를 해결하고 책임지는 역할을 맡는다.

아울러 CA협의체는 이날 회의에서 신규 투자 집행 및 유치, 지분 매각, 거버넌스 변경 등에 대한 프로세스를 강화해 시행하기로 했다. 협약 계열사는 최종 의사결정 전에 CA협의체 각 위원회의 리스크 검토를 받고, 준법과 신뢰 위원회 보고를 거친다는 원칙을 수립했다. 카카오 측은 사회의 눈높이와 신뢰에 부합하는 성장을 하기 위해 기존보다 안팎의 검증과 통제 체제를 한층 강화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남혜정 기자 namduck2@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