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조명래]세종시 ‘첫 단추’가 중요하다

  • Array
  • 입력 2012년 2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
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
세종시의 특별함은 21세기 분산형 국토구조를 이끌어낼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돼 있는 점이다. 세종시의 지위, 건설 방식, 기능과 구조, 행정체계 등은 이에 맞춰져 있다. 이 모두가 제대로 구비되려면 수도 이전에 맞먹는 국가적 차원의 준비와 지원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7월 세종시의 성공적 출범은 장기적 성공을 테스트할 시금석이 된다.

수도이전 맞먹는 국가지원 필요

세종시는 특별자치단체로 올바르게 구성돼야 목적하는 도시 기능과 역할을 온전히 수행하게 된다. 그 틀을 짜는 출발점이 시장과 국회의원을 뽑는 일이다. 첫 시장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세종시 출범에 따른 단기적 현안은 물론이고 장기적 추진 틀을 안착시키는 정도가 달라진다. 국회의원은 국가적 관점에서 세종시를 대표할 인물이어야 한다. 선거구도 세종시를 ‘국가적 정치공간’으로 만들 수 있는 범위로 획정해야 한다.

세종시를 둘러싼 최근 논란은 소지역주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인근 지역의 발전 기회가 세종시에 빼앗긴다는 빨대논쟁, 시청사 입지를 둘러싼 신구지역 간 갈등, 편입지역 주민들의 피해의식 등이 모두 그렇다. 이로 인해 출범에 멍에가 씌워지면 세종시의 역사(役事)를 지역이 말아먹는다는 국민적 원성을 피할 수 없다. 세종시 건설의 대의를 위해 소지역주의적 요구는 최대한 절제돼야 한다.

예정지역과 잔여지역 간 불균형, 연기군 지역과 편입지역 간 불균형, 구도시와 신도시 간 불균형 등도 지역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지금의 문제이면서 앞으로의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통해 문제를 진단하고 풀어가야 한다. 당장 해결하려고 들면 불균형을 심화시켜 세종시의 도시구조를 기형적으로 만들 수 있다.

특별자치단체로서 세종시의 행정사무, 조직, 구역, 예산, 법령 등을 최대치로 갖추는 것이 성공적 출범의 핵심 조건이다. 정부 차원에서 애를 쓰고 있지만 소방 교육 법원행정 등의 분야에서는 불확실성이 여전히 많다. 그렇지만 정치적 타협을 통한 무리한 해결은 바람직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자치행정을 담당할 공무원들의 태도와 사고다. 특별자치단체이면서 광역과 기초를 아우르는 자치행정을 펴야 하기에 세종시 공무원들의 전문성 강화가 출범 전에 이뤄져야 한다.

출범 전후 최대 현안은 행정기관과 종사자들의 이주 편의를 돕는 일이다. 이를 위해 세종시, 건설청 등으로 분산된 지원프로그램을 통합 운영해야 한다. 생활환경 불편은 일정 기간 지속될 수 있기에 최소화하는 게 중요하다.

세종시로 이주할 9부 2청 2처와 서울 과천 등지 비이전 부처의 행정 흐름을 긴밀히 이어주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출범 전이라도 정부는 이에 관한 대책을 발표해 국민을 안심시켜야 한다. 관건은 세종시로 이전하는 부처와 잔류하는 청와대 및 국회 간 수직적 업무관계를 바꾸는 정부 조직개편을 얼마만큼 이루느냐다.

출범 전후 관련자 이주편의 도와야

세종시 2단계(2016∼2020) 사업인 ‘자족성 확충’도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자족성 확보를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여기에는 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와의 연계, 첨단기술산업지의 조성, 첨단문화·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 중심업무지구의 조성, 국내외 유력기업 유치, 세제 지원 방안 등이 포함돼야 한다.

세종시가 단순한 신도시로 건설되는 것을 막으려면 통치권자의 확고한 의지가 천명돼야 한다. 국고보조율의 상향 조정,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 세종시 계정 등을 담은 특별법 개정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세종시를 사실상의 행정수도로 조성하기 위해선 범국민적 지지와 참여가 필수인바 이를 위한 민주적 협치(協治)체계가 출범과 함께 운영돼야 한다.

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
#세종시#수도이전#특별자치단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