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세종시 6인 협의체’ 발족… 대리전 머물까 해법 찾을까

  • Array
  • 입력 2010년 3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이달말까지 활동 뒤 보고
의총서 결과 인준여부 결정

세종시 문제를 놓고 친이(친이명박), 친박(친박근혜)계 간 극심한 갈등을 빚어온 한나라당이 4일 각 계파와 중립성향 의원이 참여한 ‘중진협의체’를 띄워 최종 합의점 도출에 나섰다. 협의체는 친이계인 이병석 최병국 의원, 친박계인 이경재 서병수 의원, 중립성향인 권영세 원희룡 의원 등 모두 6명으로 구성됐다.

협의체는 이달 말까지 활동한다. 협의체의 최종 논의 결과는 최고위원회의와 의원총회에 올려져 다시 한 번 의원들의 인준을 받아야 한다.

동아일보는 4일 협의체 참여 의원들을 전화 인터뷰했다. 의원들은 한결같이 ‘열린 마음’으로 논의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계파 간 견해차가 워낙 큰 데다 반년 가까이 격한 논쟁을 벌이며 감정의 골도 깊어져 협의체가 ‘솔로몬의 해법’을 내놓을지에 대해서는 당내에서조차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협의체는 표결을 통해서라도 당론을 변경하자는 친이계와 당론 표결 자체를 거부하며 설사 일방적으로 당론이 변경된다 해도 본회의에서 반대표로 맞서겠다는 친박계의 사실상 마지막 협상 테이블이다.

이재명 기자 egija@donga.com

황장석 기자 surono@donga.com

[친이]

▼ “불변의 정책은 없어… 계파의식 극복해야” ▼

협의체는 사실상 당의 얼굴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미 의원총회를 통해 충분한 논의가 있었다. 그 안들을 잘 풀어서 정리하면 합의점을 찾지 못할 이유가 없다. 죽어도 변할 수 없는 정책은 없다. 계파의식과 당파적 사고를 극복하면 좋은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정책에 대해 토론하고 합의를 이끌려면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먼저 정책의 수단이 정책의 목표에 적합한지 따져봐야 한다. 목표와 수단을 혼동해선 안 된다.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해 세종시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가 협의체의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


▼ “시비 가리기보다 국가 백년대계 논의해야” ▼

세종시는 무엇이 옳으냐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백년대계를 위해 무엇을 선택할 것이냐의 문제다. 따라서 어떤 주장이 맞다 틀리다를 논할 필요가 없다. 지도자는 역사적 소명을 중시해야 하지만, 실무자는 여론을 감안해 합리적인 선택을 해야 한다. 협의체가 바로 실무자의 역할을 맡아야 한다. 의원총회에서는 투표를 통해서라도 이 문제를 빨리 매듭짓자고 했지만, 협의체에 참여하는 의원들이 모두 합리적이니 토론을 통해 좋은 해법을 찾아낼 것으로 본다. 눈앞의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이를 종합하면 해답이 나오지 않겠는가.


[친박]

▼ “모든 가능성 열되 출구전략 마련이 핵심” ▼

일단 당에서 정한 활동시한이 있으니 시한을 맞추도록 노력하겠지만 상황에 따라 그 시한을 연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압박에 의해서 하는 게 아니라 가능성을 열어놓고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도록 지혜를 모아야 한다. 원안이냐 수정안이냐를 정해 놓고 논의를 시작해선 안 된다. 형식이나 내용에 구애받지 말고 백지 상태에서 세종시 문제를 매듭짓기 위한 좋은 안을 찾아야 한다. 결국 협의체는 출구전략을 마련하는 데 논의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 만약 절충안을 마련한다면 그 최종 결정은 양쪽의 책임 있는 분들이 해야 한다.


▼ “어느 쪽도 정치적으로 다치지 않는 묘수를” ▼

협의체의 역할이 중요하다. 하지만 협의체에서 각자 주장을 내놓고 결론을 내려 한다면 의미가 없다. 지금까지 당에서 누구도 세종시 원안을 주장하는 쪽과 수정안을 주장하는 쪽을 모두 오가며 가교 역할을 하지 못했다. 협의체의 역할은 그런 게 아니겠는가. 그런 과정에서 변화의 조짐이 보이도록 노력해야 한다. 어느 쪽도 정치적으로 다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협의체의 활동시한을 못 박으면 안 된다고 본다. 시한을 정한다는 것은 형식적 절차를 밟는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환경이 바뀌면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의 만남도 주선할 수 있다.


[중립]

▼ “원점에서 논의… 활동시한 못박으면 안돼” ▼

지난달 닷새간 이어진 세종시 의원총회에서 나온 다양한 안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겠지만 기본적으로 제로베이스(원점)에서 논의를 시작하는 게 옳다고 본다. 다만 협의체가 어느 정도 위임을 받은 기구인지 모르겠다. 구체적인 활동 내용과 시한 등도 협의체에서 논의해 정해야 한다. 활동시한을 한 달로 정해 놓았는데, 한 달 안에 되겠는가. 무작정 늘릴 수는 없겠지만 시한을 너무 확정적으로 정해 놓고 가면 안 된다. 시한을 정해 놓는다는 것은 협의체가 요식기구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 협의체는 아무런 지향점을 두지 말고 활동해야 한다.


▼ “다양한 논의 길 열려… 내 중재안 고집 안한다” ▼

솔직히 협의체에서 얼마나 좋은 성과물을 내놓을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다양한 논의를 할 수 있는 협의체의 틀이 만들어졌다는 데 의미가 있다. 협의체에선 주장보다는 해법에 대해 주로 얘기하게 될 것이다. 그저 자기주장만을 쏟아낸 의원총회와는 논의의 질이 다를 것으로 본다. 하지만 오랫동안 풀리지 않은 문제이기에 참여하는 의원들의 부담도 큰 게 사실이다. 지금까지 나는 일부 부처를 이전하는 중재안을 제안해 왔으나, 내 제안을 고집할 마음이 없다. 서로 명분을 살릴 수 있는 해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