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 합의 위반 명백히 지적"…민주'교과서 외교단'귀국

  • 입력 2001년 3월 18일 19시 21분


3박 4일간의 ‘교과서 외교’를 마치고 17일 귀국한 민주당 박상천(朴相千)최고위원은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는 감정적인 대응만 할 것이 아니라 명백한 국제적 합의 위반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재(金景梓) 유재건(柳在乾) 이낙연(李洛淵)의원 등 당 대표단을 이끌고 일본에 다녀온 박최고위원은 고노 요헤이(河野洋平)외상, 마치무라 노부타카(町村信孝)문부과학상(15일), 이토 소이치로(伊藤宗一郞)한일의원연맹 일본측 회장(16일)을 잇달아 만나 역사교과서 왜곡문제가 ‘국제법적 문제’임을 지적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98년 10월 당시 한일 양국 정상이 ‘과거사를 직시하는 바탕 위에서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구축하자’고 합의했음을 상기한 뒤 “한국은 이 합의에 근거해 일부 반대를 무릅쓰고 일본 대중문화를 개방했는데 일본이 역사를 왜곡한다면 이는 국제적인 합의 위반”이라는 논리로 일본측을 설득했다고 전했다.

그는 특히 이토 한일의원연맹 일본측 회장에게 “교과서문제로 한일관계가 어려울 때 한일의원연맹이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으며 이토회장은 이에 공감을 표시하고 “민주당 대표단의 이번 방일이 헛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이낙연의원도 16일 후유시바 데쓰조(冬柴鐵三) 공명당 간사장에게 “캐스팅 보트를 쥐고 잇는 공명당이 교과서 문제 해결에 큰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으며 후유시바 간사장은 이에 대해 “역사적 사실에 반하거나 편향된 교과서는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대답했다고 전했다.

<김창혁기자>ch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