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김정희씨 "아이들 위해 직업 포기했어요"

  • 입력 2000년 5월 8일 19시 53분


일하는 엄마 가운데는 자식에 대해 미안한 감정을 품고 사는 이들이 적지 않다. 김정희씨(40·경기 안산시 사동)는 17년간 교직생활을 하다가 자식을 위해 최근 사표를 냈다. “하느라고 했는데 그래도 엄마와 자식간의 거리가 이렇게 멀었는지는 미처 몰랐다”는게 그의 말.

큰 아들 지수(12·중1)가 여섯살 때 뇌막염에 걸려 병원에 입원한 적이 있었다. 김씨는 매일 밤 병원으로 퇴근했다가 밤 11시경 집으로 돌아와 잠을 잔 뒤 출근했는데, 지금껏 아무 얘기도 하지 않던 지수가 얼마전 엄마에게 털어 놓은 얘기를 듣고 김씨는 그만 펑펑 울고 말았다.

“척수검사 받고 너무 아팠는데, 엄마가 나랑 같이 자주지 않아서 날 사랑하지 않는 줄 알았어요.”

지수는 하루저녁 4, 5권의 책을 읽어내는 ‘독서광’. 그런데 이렇게 된 속사정은 따로 있었다. “엄마가 집에 있지 않았고, 집에 와도 언제나 무서운 표정이어서 책 읽는 게 속이 편했다”는 얘기.

그제서야 김씨는 저녁에 퇴근한 뒤 아이들에게 바라는 바는 많고 시간은 부족해서 언제나 지시 명령조로 말해왔다는 걸 깨달았다.

작은 아들 희수(10·초등학교4년)는 천성적으로 성격이 밝아 걱정이 덜 했는데….

“글쎄 희수가 엘리베이터에서 라이터를 갖고 놀더라구요.”

아래층 사는 이웃의 ‘제보’를 받고도 김씨는 희수를 탓할 수 없었다. “양보다 질이 중요하다고들 얘기하지만, 아무리 해도 질이 양을 대신할 수는 없었어요.”

이비인후과 의사인 남편 윤종태씨(40)와 수련의과정때 결혼, 전공의 공중보건의 과정을 거치기까지 10여년간을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다시피한 김씨는 최근 남편이 자리를 잡으면서 사표를 쓸 용기가 생겼다. 그러나 감당해야 할 ‘손실’도 큰 게 사실.

“교사생활에서 많은 학생과 학부모 선생님들을 만나며 감정을 억제하고 인격적으로 크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그러나 더이상은 ‘나’를 위해 사는 게 힘들지 싶어요.”

물론 일과 가정의 조화를 맞춰가는 취업주부도 있다. 그러나 그는 “어느 가정이든 가족 행복의 ‘정량’은 있는 것 같다”며 “엄마가 없으면 가족이 제대로 생활할 수 없는 역할, 이제 그런 ‘일’을 하고 싶다”고 했다.

<안산〓나성엽기자>interne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