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석]中전국 정협 조선족 대표 상무위원 이승숙 씨

  • 입력 2007년 3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이승숙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상무위원(조선족 대표)이 3일 정협 제10기 전국위원회 5차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인민대회당 정문으로 들어가려다 잠시 멈춰 포즈를 취했다. 그는 조선족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준비한 3개의 제안 중 2개가 2일 열린 예비회의에 제출돼 ‘정협 300개 제안’으로 채택됐다고 말했다. 베이징=하종대 특파원
이승숙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상무위원(조선족 대표)이 3일 정협 제10기 전국위원회 5차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인민대회당 정문으로 들어가려다 잠시 멈춰 포즈를 취했다. 그는 조선족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준비한 3개의 제안 중 2개가 2일 열린 예비회의에 제출돼 ‘정협 300개 제안’으로 채택됐다고 말했다. 베이징=하종대 특파원
《“옌볜(延邊) 조선족자치주의 경제 활성화를 위해 무엇보다 중국 북한 러시아 3국의 철도 개방과 베이징(北京)∼옌지(延吉) 간 철도여객 수송난 해결을 제안할 예정입니다.”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전국 정협)의 이승숙(64·여·사진) 상무위원. 그는 중국의 220여만 조선족을 대표하는 유일한 조선족 상무위원이다. 전국 정협엔 2명의 조선족 상무위원이 있지만 베이징화공대 교수인 김일광 상무위원은 소수민족 대표가 아닌 과학계 대표 자격이다. 3일 오후 베이징에서 열린 정협 제10기 전국위원회 제5차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인민대회당에 들어오는 이 상무위원을 대회당 입구에서 만났다. 연두색 저고리에 푸른색 치마의 한복을 곱게 차려 입은 그녀는 60대 할머니라고 볼 수 없을 만큼 활력 있고 단아해 보였다.》

―이번 정협 전국위원회 회의에서 제안할 사항이 무엇인가요.

“옌볜에는 동해로 바로 나갈 수 있는 길이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1262km 떨어진 다롄(大連)을 거쳐 수출입 화물을 수송해야 합니다. 옌볜이 불과 15km 떨어진 동해와 철도로 곧바로 연결된다면 옌볜 경제 발전에 커다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옌볜에서 베이징, 창춘(長春), 선양(瀋陽), 다롄, 하얼빈(哈爾濱)으로 가는 여객열차도 문제입니다. 1년 중 3개월을 빼면 옌볜은 항상 기차표 사기가 하늘의 별 따기입니다. 이 2가지를 중앙 정부가 나서서 해결해주도록 제안할 것입니다.”

―두만강 하류의 3국 자유무역지대는 이미 중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지 않나요.

“중국의 훈춘(琿春)과 북한의 나선, 러시아의 하산을 연결하는 3국 자유무역지대는 자동차 도로를 중심으로 짜인 계획입니다. 그러나 철도가 연결돼야 화물과 여객의 대량 수송이 가능합니다. 추진 중인 3국 자유무역지대도 예상보다 진척이 느립니다. 옌볜 경제의 사활이 걸린 자유무역지대 추진이 좀 더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중앙 정부의 영도자(지도자)들에게 건의할 생각입니다.”

―정협 상무위원이 제안하면 당과 정부에서 잘 받아들여지나요.

“지난해 회의에서 다른 국제노선에 비해 터무니없이 비싼 옌볜∼서울 간 비행기표 가격을 내리자고 제안해 결국 중앙 정부가 받아들여 비행기표 값이 크게 싸졌습니다. 당초 평균 5474위안(약 66만6900원)이던 이 구간 왕복표 가격이 3800위안(약 46만3000원)으로 30% 이상 내렸습니다. 평소 옌볜과 한국을 자주 드나드는 경제인뿐 아니라 돈을 벌기 위해 한국에 간 조선족 동포에게도 적잖은 혜택이 돌아갈 것입니다. 약 1만5000km인 베이징∼미국 뉴욕 간 왕복 항공표가 8000∼9000위안인 점을 감안하면 2000여 km에 불과한 옌볜∼서울 간 항공기표가 5000위안이 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바가지요금입니다. 제가 상무위원이 된 2003년 이후 4년간 6가지를 제안해 모두 실현됐습니다.”

이 상무위원은 본디 무용연출가. 중국의 국가1급 안무가로 1997년부터 10년째 옌볜 조선족자치주 가무단의 예술총감독을 맡아 왔다. 1997년 창작한 ‘창바이칭(長白情)’은 그가 안무한 대표적 무용극이다. 조선족의 100년 이민사를 그린 이 작품으로 그는 중국에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원화(文華) 대상’을 받았다. 지금까지 직접 창작한 무용극만도 100여 편에 이른다.

이 같은 공적이 인정돼 그는 중국 국무원의 ‘특별 수상금’ 혜택을 받고 있다. 한국의 인간문화재에 해당하는 예술인에게 주는 특별 급여다.

―한국 정부에 하고픈 말이 있다면….

“한국에서 일하는 조선족을 좀 더 따뜻하게 대해 줬으면 합니다. 일부 업주가 불법체류자라는 사실을 미끼로 임금을 떼먹는다는 얘기를 듣고 매우 놀라고 화가 났습니다. 조선족이 한국에서 벌어오는 돈이 옌볜 경제에 커다란 힘이 됩니다. 한국 정부의 관심과 배려를 부탁합니다.”

그는 조선족을 ‘동포’라고 표현했다가 나중에 조선족으로 바꿔 달라고 간곡히 요청했다. 옌볜에서 조선족이 계속 줄어드는데 조선족의 장래를 어떻게 보느냐고 묻자 “나중에 말합시다”라며 답변을 회피했다. 북한 정권에 하고 싶은 말이 있냐고 묻자 “없다”며 마뜩찮은 표정을 지었다.

중국에서 소수민족으로 살아가는 데는 역시 ‘말 못할 사정’이 많은 듯했다. 그는 인터뷰 도중에도 여러 차례 “이 정도면 된 것 아니냐”며 빨리 끝내 줄 것을 요청했다.

베이징=하종대 특파원 orionha@donga.com

▼이승숙 전국 정협 상무위원▼

1943년 9월 헤이룽장(黑龍江) 성 하얼빈에서 출생. 1986년 연변대 예술계 연출학과를 졸업하고 1987년 옌볜 조선족자치주 가무단 무용 연출을 담당했으며 1997년부터 10년째 예술총감독을 맡아 왔다.

옌볜자치주 정협 주석이자 옌볜무용가협회 주석으로 중국문학예술계연합회(문련·文聯)의 옌볜자치주 부주석도 맡고 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