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대구 자전거도로 ‘도로아미타불 될라’

  • 입력 2009년 6월 18일 07시 05분


市, 도심 차로 줄이거나 좁히는 방안 추진
체증 등 우려 경찰 반대 땐 백지화될 수도

대구시가 도심 주요 도로의 차로를 줄이거나 차로의 폭을 줄이는 이른바 ‘도로 다이어트’를 통해 자전거 전용도로를 확충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사업 추진에 필요한 수백억 원의 비용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은 데다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무리하게 만들면 교통체증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17일 대구시에 따르면 2012년까지 도심 주요 도로를 중심으로 자전거 전용도로망을 대대적으로 구축하는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자전거 전용도로를 현재 37.92km에서 265.6km(22개 구간)로 늘려 시민들의 자전거 보유율을 14.3%에서 20%로 높일 방침이다. 달구벌대로(23.72km)와 신천로 및 칠곡로(36.07km), 앞산순환로(30.69km), 대구역을 비롯한 3개 대중교통연계지구(4.78km) 등 기존 도로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들고 금호강 및 낙동강 강변도로(99.4km), 대구 동구 혁신도시 일대 등 13개 지구(70.95km)에는 이를 새로 조성키로 했다.

대구시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조성하기 위해 기존 도로의 차로당 폭(3.30∼3.68m)을 0.30∼0.68m 줄이는 ①안과, 왕복 4차로를 왕복 3차로로 줄이는 등 기존 도로의 차로 중 1개 차로를 줄이는 ②안, 도심 도로는 차로의 폭을 줄이고 외곽 도로는 차로의 수를 줄이는 ③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①안은 현행 차로의 폭을 3m로 줄인 뒤 여유 공간에 자전거 전용 도로를 조성하는 것으로 이 경우 차로의 폭이 좁아져 운전자들이 운행에 피로감을 느끼는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또 차로 수를 줄이는 ②안은 공간 확보가 쉬운 반면 차로 감소로 인해 교통체증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 대구시는 절충형인 ③안을 실시하는 것을 적극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 도로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조성하기 위해선 경찰 측과 협의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대구시가 마련한 계획이 백지화되거나 바뀔 수도 있다. 대구경찰청 관계자는 “차로 축소나 차로의 폭을 줄일 경우 예상치 않은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며 “기존 도로의 차로 수나 차로 폭 축소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업비 확보도 대구시가 넘어야 할 산. 대구시는 자전거도로망 확충은 물론 대구역, 동대구역 등과 도시철도 역세권에 200∼500대를 한꺼번에 주차할 수 있는 자전거 주차장 건립 사업도 추진할 방침이다. 누구나 어디서든 자전거를 빌릴 수 있는 공공자전거 무인 무상 임대 시스템을 도입하고 자전거와 관련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전거지원센터 설립과 자전거 전용홈페이지도 구축할 예정이다. 이들 사업 추진에는 460여 억 원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대구시는 이 사업비가 내년도 예산에 편성될 수 있도록 시의회를 적극 설득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일부 교통전문가는 “도심 주요 도로에 무리하게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들 경우 심각한 교통체증 등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다”며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 사전에 치밀한 검토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시 정원재 교통국장은 “장기적으로 주차난과 교통체증 등으로 도심 운행차량 통행을 제한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는 만큼 이에 대비하기 위해 자전거 전용도로 확충이 필요하다”며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공청회 등을 통해 문제점을 미리 파악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균 기자 cavatin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