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캠페인/사고 예방]황상호/조사방법 과학화 필요

  • 입력 1998년 12월 27일 19시 38분


교통안전 대책은 운전자 차량 도로환경 등 세가지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교통사고를 줄이고 또 사고가 나더라도 피해정도를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교통사고 실태와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는 사고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고분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국민이 교통사고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

또 당국의 교통안전 대책도 현실과 거리가 멀어 결국 예산을 낭비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교통사고를 과학적으로 분석해야만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안전대책의 우선순위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인구 차량등록대수 운전면허소지자수 도로연장 등의 교통통계를 기준으로 사고율을 파악해 왔다.

그러나 이같은 분석방법은 실제 차량이 얼마나 달렸는지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어떤 도로가 더 위험한지, 어느 구간에서 더 조심해야 하는지, 시간적으로는 언제 사고가 많이 나는지, 어떤 차종이 교통사고를 많이 일으키는지 정확히 알기 어려웠던 것.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경우 이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구 차량대수 등 외형적 통계보다는 실제 차량이 달린 주행거리에 따라 사고발생률와 사망률을 분석하고 있다.

경부고속도로를 예로 든다면 모든 통행차량의 주행거리를 합산해 ‘주행거리 10억㎞일 때 교통사고 발생건수’ 등을 집계하는 방식이다.

차량주행거리를 기준으로 하는 교통사고 집계는 도로 차종 지역 국가별 비교 등 많은 항목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어 교통안전대책을 마련하는데 그만큼 효과적이다.

OECD에 가입한 국가는 이런 자료를 국제교통안전기구나 학술회의를 통해 발표하고 회원국간에 서로 자료를 주고 받으므로 한국도 교통사고 조사방법을 선진화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황상호<교통과학연 수석연구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