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투자 A to Z]뮤추얼펀드 투자설명서 보는법

  • 입력 1999년 6월 22일 19시 26분


뮤추얼펀드 투자설명서에는 가입하고자 하는 뮤추얼펀드의 모든 내용이 들어있다. 운용방식 투자위험 자산운용회사 주식환매 등 투자자가 알아야할 사항들이 빠짐없이 담겨 있다. 문제는 개인투자자들이 이같은 용어와 내용들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

간접투자시리즈 23회에선 최근 대우증권이 판매한 플래티넘 3호를 예를들어 ‘뮤추얼펀드 투자설명서 보는 법’을 알아본다.

▼ 5만원단위 청약 가능 ▼

①주식청약〓펀드의 최소 청약한도와 청약단위, 청약기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플래티넘 3호의 주당 발행가액은 5000원, 최소청약한도는 100주, 청약단위는 10주로 나와있다.

이 말은 펀드의 최저판매액이 주당 발행가 5000원에 100주를 곱한 50만원이라는 얘기. 50만원 이상 가입을 원하면 5만원(청약단위 10주×5000원) 단위로 청약할 수 있다.

청약기일(플래티넘 3호는 5월24일∼6월9일)은 펀드 가입기간을 말하며 너무 길 경우 청약일과 운용개시일(실제 펀드자금으로 주식투자를 시작하는 날)간 종합주가지수에 큰 차이가 벌어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서둘러 청약하는 것보다 가급적 청약기간 후반부까지 시장상황을 지켜본 다음 가입여부를 결정하는게 좋다는 얘기다.

▼ 주식에 90%까지 투자 ▼

②투자목적〓펀드자산의 최대 90%까지를 주식에 투자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플래티넘 3호가 매우 공격적인 펀드임을 알 수 있다. 주가상승기에는 주식편입비율이 높은 펀드가 수익률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주가하락기에는 최악의 경우 원금손실을 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여유자금으로 투자하는게 바람직하다.

▼ 원금손실 위험 명시 ▼

③투자에 따른 위험〓투자원금에 손실이 발생했을 때 회사측이나 정부가 원리금을 대신 보상해주지 않는다고 분명히 명시돼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설마 원금이 축나겠어’하고 쉽게 넘어가는 항목이다. 뮤추얼펀드는 종목선택을 잘못해 손실을 보는 경우도 있지만 국내외 정치 경제적상황, 정부정책의 변경, 파생상품 투자실패 등 무수한 위험에 노출돼있다.

▼펀드설립후 1년 존속 ▼

④회사존속기간〓뮤추얼펀드 설립일로부터 1년간이다. 투자자입장에선 뮤추얼펀드 투자기간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플래티넘3호의 경우 99년 4월29일 설립됐기때문에 회사존속 만료일은 2000년 4월28일이다. 즉 뮤추얼펀드 투자만기일은 청약기간중 자신이 가입한 날로부터 1년이 아니라 펀드 설립일로부터 1년이기때문에 실제 투자기간은 1년보다 약간 짧은 것으로 보면 된다.

회사존속기간(투자기간)은 다수의 투자자(주주)들이 원하면 연장할 수 있다.

▼1개월내 상장이 원칙 ▼

⑤상장 또는 등록〓뮤추얼펀드는 통상 주권교부일(주식배정시 함께 공고됨)로부터 1개월 이내에 상장 또는 등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는 만기이전에 돈을 찾을 수 없는 폐쇄형 펀드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조치다. 상장 또는 등록이 되면 주식처럼 증권시장에서 사고 팔 수 있다. 그러나 매도시 펀드자산가치에 비해 일정비율(10% 정도) 할인한 값에 팔기때문에 약간의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금융기관이 운용-판매 ▼

⑥관련 기관〓뮤추얼펀드는 하나의 회사이지만 실체가 없다. 뮤추얼펀드가 회사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려면 여러 금융기관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플래티넘 3호의 경우 펀드의 실질적 운용과 회사관리는 서울투자신탁운용이 맡고, 펀드자산은 농협이 보관한다. 또 펀드주식 판매는 대우증권과 한진투자증권이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판매회사의 ‘명성’이 아니라 자산운용회사의 ‘운용능력’이다. 가입하기전에 자산운용회사의 과거 운용실적과 운용철학을 체크하는게 필요하다. 도움말 주신분 서울투신운용 뮤추얼펀드팀 김현태대리 02―3774―8047

〈이강운기자〉kwoon90@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