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투자 A to Z]수익증권 수익률-계산법

  • 입력 1999년 6월 8일 19시 39분


이번주에는 공사채형 수익증권 등 수익증권 펀드의 수익률을 직접 계산해보기로 하자. 수익률 계산방법은 복잡한 것 같지만 알고보면 간단하다. 계산방식을 알면 창구직원에게 일일이 수익률을 물어볼 필요가 없다.

[공사채형 수익증권]

▽체크포인트〓공사채형 펀드의 경우 가입당시 창구에서 제시한 ‘예상수익률’이 정말로 실현 가능한지를 중간 점검하는게 포인트. 예컨대 비교시점의 수익률과 예상수익률간 격차가 크게 벌어져 있다면 해당 투신사에 ‘당초 얘기한 것과 다르지 않느냐’고 따질 수 있다.

물론 창구직원은 “가입당시의 금리를 적용하면 만기때 그만한 수준의 수익률이 나올 수 있다는 얘기지 확정수익률은 아니다”고 해명할게 틀림없다. 그렇더라도 고객이 기간별 수익률을 들이대고 ‘분발’을 촉구하면 펀드운용에 전력을 기울이는 계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케이스 연구〓지난 4월21일 공사채형 상품에 1백만원을 투자하고 한달 뒤인 5월21일 수익률이 얼마나 됐는지 알아보기로 하자.

기준가격은 통장에 찍혀나오지 않기때문에 직접 물어보지 않는한 알 수 없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통장에 찍힌 잔고좌수와 평가금액만으로도 얼마든지 기준가격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을 위해 ①평가금액〓기준가격×잔고좌수 ②기준가격〓평가금액÷잔고좌수 ③수익률〓(평가일의 기준가격―가입일 기준가격)÷가입일 기준가격 등 세가지 기본공식을 기억해두자.

1백만원을 입금했더니 통장에는 △잔고좌수 96만2817 △평가금액 100만원으로 찍혔다. 가입시 기준가격은 계산식(100만원÷96만2817)에 대입하면 1038.62원으로 나온다. 가입할 때 기준가격이 1000원보다 높았기 때문에 수익증권 좌수가 100만좌를 밑돈 것임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수익률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가입한 펀드의 5월21일자 기준가격을 구해야 한다. 가입시 기준가격을 산출한 방식대로 계산식에 대입해보면 5월21일자 기준가격은 1047.72원.

한달간 운용수익률은 평가일 기준가격 1047.72원에서 가입일 기준가격 1038.62을 뺀 다음, 다시 1038.62로 나누면 0.88%임을 알 수 있다. 이를 연수익률로 환산하면(0.88%×12) 10.56%다. 물론 기준가격은 직접 계산해서 구하는 방법도 있지만 거래 영업점이나 인터넷, PC통신 등을 통해 금방 확인할 수 있다.

▽채권시가평가제 적용펀드의 경우〓기준가격을 구하는 방식은 똑같다. 그렇지만 채권시가평가제를 적용하는 공사채형 펀드는 편입한 채권을 매일 매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고 이를 기준가격에 직접 반영하기 때문에 기준가격 변동이 심한 편이다.

[주식형 수익증권]

주식형 펀드도 가입시 기준가격에서 평가일 현재(또는 출금일) 기준가격을 비교해 수익률을 구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특정 시점의 평가수익률을 연 수익률로 환산하지 말라는 것.

주식형의 경우 비교 시점의 수익률이 아무리 높더라도 주가 등락에 따라 수익률이 얼마든지 변할 수 있으므로 연 수익률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일부 투신사가 주식형펀드의 수익률을 과대포장하기 위해 간혹 연환산 수익률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에 속지말아야 한다.

도움말 주신분 대한투자신탁 방철호상품개발부장 02―3771―7131

〈이강운기자〉kwoon90@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