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청문회]「한보돈-통치자금-대선자금」쟁점 부각

  • 입력 1997년 4월 12일 20시 05분


洪仁吉(홍인길)의원을 증인으로 채택한 12일 한보청문회에서는 홍의원과 관련, 세가지 성격의 자금이 쟁점으로 부각했다. 첫째는 한보 鄭泰守(정태수)총회장으로부터 받은 10억원의 사용처였다. 두번째는 집권이후 청와대 총무수석시절 관리했다는 「통치자금」, 세번째는 한보가 제공했다는 92년 대선자금이었다. 홍의원은 먼저 10억원의 사용처에 대해 『경조사비나 식비, 어려운 사람을 돕는데 썼다』고 말했다. 다만 『홍의원이 10억원을 「민주계 의원들과 나눠썼다」고 말했다』는 자신의 변호인 신한국당 洪準杓(홍준표)의원의 발언만은 부인했다. 통치자금의 실체나 한보측의 대선자금 제공여부에 대해서는 『전혀 모른다』며 전면부인했다. 특히 그는 「상도동 금고지기」 「YS 재정담당 비서」라는 자신의 고유의 역할에 대해서조차 『나는 그냥 비서일뿐』이라고 역할을 축소했다. 이날 의원들은 한보의 거액편법 대출과 金泳三(김영삼)대통령의 대선자금간의 상관관계에 질문의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홍의원은 『한보사태의 뿌리는 92년 대선자금이 아니냐』는 趙舜衡(조순형)金景梓(김경재)金學元(김학원)의원 등의 질문에 대해 『한보 정총회장이 당시 민자당 재정위원이었던 만큼 당에 정치자금을 제공했을 것』이라고 「합법적 범위」내에서의 정치자금 제공사실 만을 시인했다. 그러나 그는 『정총회장이 김대통령에게 개인적으로 대선자금을 제공한 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또 92년 김대통령이 金命潤(김명윤)의원 자택에서 정총회장으로부터 6백억원의 대선자금을 받았다는 야당측의 주장에 대해서도 『전혀 그런 일이 없다』고 부인했다. 14대 대선 다음날인 92년 12월19일 한보가 산업은행으로부터 1천9백만 달러의 외환대출을 처음 받은 사실에 대해서도 그는 『우연하게 그래 맞았겠죠』라고 담담하게 진술했다. 그는 이날 답변에서 한보대출에 대해서는 『남들이 실세라고 하니까 그렇게 알고 있었다』 『다른 사람의 지시를 받은 적 없다』며 자신이 「몸통」이고 배후임을 부각시키려 노력했다. 그러나 대선자금이나 정권관리자금에 대해서는 『내가 관리한 적이 없다』 『모르는 사실은 모른다고 할 뿐이다』는 말로 일관, 스스로 「깃털」임을 입증하려 애썼다. 〈윤영찬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