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경쟁, 이기진 못해도 크게 뒤처지진 않아야"

  • 동아닷컴
  • 입력 2024년 3월 5일 20시 48분


코멘트
“SK텔레콤은 1996년 세계 최초 CDMA 상용화 이후 글로벌 이동통신 산업 발전을 선도했지만 이제 빛나는 40년 역사를 뒤로하고 AI라는 새로운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5일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이동통신 40주년 기념 토론회 ‘AI시대, ICT가 가야 할 길’에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남긴 말이다.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이동통신 40주년 기념 토론회 ‘AI시대, ICT가 가야 할 길’ / 출처=바른ICT연구소

SK텔레콤이 후원하고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가 주최한 이날 토론회는 이동통신산업의 성과를 돌아보고, AI 시대라는 변곡점을 맞은 우리나라 ICT 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취지로 마련됐다.

이날 행사 축사로 나선 유영상 대표는 “SK텔레콤도 그간 축적해 온 역량과 자산을 토대로 글로벌 AI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한다. 다시 한번 대한민국 산업 부흥에 기여하고, AI 강국 대한민국을 견인하는 새로운 사명을 실현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 출처=IT동아

연세대 윤동섭 총장은 “지금 세계는 AI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산업과 사회 전반에 걸쳐 거대한 문명사적 변화를 맞이하는 중”이라며 “이처럼 중요한 변곡점에 처해있는 지금, 여러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지난 40년간 ICT 산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AI 시대의 과제와 전략을 모색하는 오늘 토론회는 매우 시의적절하다 할 것”이라고 축사했다.

연세대학교 바른ICT 소장 김범수 교수는 “AI 발전은 우리 삶 전반에 긍정적 결과 불러올 것으로 기대되지만 예측할 수 없는 위험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거짓 정보를 그럴싸하게 제시하는 환각 현상, 편견과 차별의 재생산, 개인정보 및 저작권 침해 이슈 등 AI가 해결해야 할 문제도 적극적으로 논의되고 있다”면서 “AI가 가져올 혁신적 변화에 대한 차분한 예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발표자로 나선 김경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정책관은 국내 이동통신 40년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ICT 정책 방향을 제언했다. 김 정책관은 “앞으로 다가올 AICT(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 시대, 데이터 중심 사회에서는 초연결사회 인프라가 기반이 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면서 “유무선 통신 인프라의 고도화를 위해 정부, 통신사업자들의 노력과 독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토론회 주요 참가자들 / 출처=바른ICT연구소

김 정책관은 통신 정책의 글로벌 스탠다드 선점 필요성도 역설했다. 김 정책관은 “앞으로 통신 정책은 한 나라만이 아니라 전 세계가 공통된 규약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훨씬 어려워질 것”이라며 “국익을 극대화하려면 우리가 표준을 먼저 확립하거나, 전 세계적 영향력이 큰 기업이 등장해 규칙 설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건국대 경제학과 권남훈 교수는 통신산업의 발전 정체로 탈통신을 추구하고 있는 이동통신업계가 AI 시대의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권남훈 교수는 그 유력한 후보로 귀찮은 일과 힘든 일을 대신 해주고,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비서’ 또는 ‘분신’을 제시했다. 권 교수는 이 비전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연결된 개인 기기(Connected Personal Device)가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 교수는 AI 경쟁에서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이기진 못 하더라도 크게 뒤처지지 않고 대안 확보, 기술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적극적 형태의 방어 전략이 필요하다고도 말했다. 또한 AI 반도체, 분야별 특화 지식, 배터리, 에너지, 프로슈머 등 AI 응용 확대 과정에서 병목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요소를 빠르게 찾아내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통신사업자들이 통신을 AI에 접목하는 건 물론, 산업과 일상에서 AI 전환의 조력자(Enabler)가 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정언 교수는 국내 AI 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먼저 AI 모델 고도화를 위한 학습 데이터 마련을 위해 정부가 나서서 국내 기업 간 협력을 통한 공동 데이터셋 구축, 학습용 데이터 공개, 저작권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 마련 등의 역할을 제시했다. AI 반도체와 같은 인프라 산업 육성에서도 국산 반도체 고도화를 위한 협력 체계 형성 등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왼쪽부터 윤동섭 연세대학교 총장,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용학 SK텔레콤 이사회 의장 / 출처=바른ICT연구소

국내 산업의 AI 전환을 위한 맞춤형 전략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금융, 유통, 통신 등 AI를 빠르게 도입 중인 산업에서는 활용 사례를 발굴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솔루션으로 사업화하고, 파급력 높지만 AI 도입이 더딘 헬스케어, 제약 사업 등에서는 데이터 활용 관련 규제 완화나 데이터 표준화 체계 개선 등의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국민대 경영정보학부 안현철 교수는 AI를 지렛대 삼은 국가 위기 돌파를 화두로 던졌다. 안 교수는 “한국 경제는 현재 저성장 고착화, 저출산 고령화 심화, 고금리 장기화로 인한 가계 부채위기 등이 겹친 복합위기에 처해 있어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AI를 지렛대 삼아 기존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거나, 킬러 앱 개발로 내수 시장을 확장, 보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IT동아 권택경 기자 tk@i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