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학대 트라우마 생기면 ‘조현병’ 등 정신질환 위험 커져”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9월 23일 15시 23분


코멘트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어릴 적 신체적·정신적·성적으로 학대 또는 피해를 받아 트라우마(심리적 상처)가 생긴 사람은 조현병 같은 중증 정신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의태 교수팀은 한국, 영국에서 모집한 2700여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공동 연구에서 이같은 결과가 확인됐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정신과학 학술지인 ‘랜싯 정신과학(Lancet Psychiatry)’ 최신 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트라우마로 인해 발생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복합 PTSD와 일반 PTSD로 나눠 분석했다. 복합 PTSD의 경우 단발적인 사고, 충격으로 나타나는 일반 PTSD와 달리 성장기에서 겪는 지속적인 트라우마가 원인이 된다. 감정 조절의 어려움, 정체성 혼란, 관계 유지의 어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 복합 PTSD 환자는 PTSD가 없는 사람과 비교해 정신 질환 중증도가 많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일반 PTSD 환자는 정신질환 중증도가 유의미할 정도로 증가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복합 PTSD 환자에게서만 나타나는 3가지 특성(감정ㆍ정체성ㆍ관계 유지) 모두 정신 질환의 중증도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며“정신질환의 발현에 있어 특정한 사고나 충격보다는 성장 과정에서 지속적인 학대와 그로 인한 후유증의 영향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성장기 트라우마가 성인 이후 각종 정신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추정돼 왔지만 현재까지 둘 간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국내 의료진의 주도로 문화권이 다른 한국과 영국에서 성장기 트라우마와 정신증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며 “두 국가의 대규모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이뤄진 만큼 이젠 학계에서도 학설을 넘어 정론으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의태 교수는 “성장기 트라우마가 있는 환자들을 체계적으로 치료ㆍ관리할 수 있는 공중보건 시스템을 마련한다면 조현병 등 정신질환 발병률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복합 PTSD와의 연관성도 확인한 만큼 정확한 치료 지침을 마련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최재호 동아닷컴 기자 cjh122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