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어지려 아들 피 수혈 받은 백만장자, 돌연 중단…왜?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7월 14일 11시 25분


코멘트
브라이언 존슨 인스타그램
브라이언 존슨 인스타그램
젊어지기 위해 최근 17세 아들의 피를 수혈받은 백만장자 브라이언 존슨(45)이 수혈 치료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이유는 “효과가 없어서”다.

12일(현지시간) 미국 비즈니스 인사이더,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존슨은 최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젊은 사람의 혈장을 수혈한 결과 아무런 이점도 얻지 못했다”며 수혈 중단을 선언했다.

존슨은 최근 6개월간 한 달에 한 번씩 ‘젊은 혈장’ 1ℓ(리터)를 기증받아 수혈했다. 이유는 젊어지기 위해서다. 4월에는 아들 탈메이드 존슨(17)의 혈장까지 수혈받았다.

그는 “젊은 혈장을 수혈하는 건 생물학적으로 고령 인구나 특정 조건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내 경우엔 기존 항노화 시도 이상의 이점이 추가로 발견되지 않았다”고 했다.

존슨은 또 자신의 혈장 일부를 70대 아버지 리차드 존슨에게 기증하기도 했다. 존슨은 “(아버지에 대한) 실험 결과는 아직 보류 중”이라고 했다.

존슨은 ‘청사진 프로젝트’라는 이름의 회춘 치료를 받고 있다. 30명 이상의 전문의에게서 생체나 이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시술과 약물 처방, 생활 습관 교정 등을 받고 있고 이를 위해 한해 25억 원 이상의 돈을 쓰고 있다.

혈장 교환 치료의 역노화 효과는 보도 당시 논란이 일었다. 이론적으로 1972년 실험 쥐에게 실시한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의 한 연구에 기반한다. 젊은 쥐의 피를 늙은 쥐에게 전달하면 수명이 연장하는 효과를 확인했다는 연구다. 이후 2005년 스탠퍼드대 연구에서도 젊은 쥐의 피를 늙은 쥐에 주입하면 간과 뼈의 세포가 재생했다는 결과를 확인하기도 했다.

하지만 2019년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젊은 혈장을 수혈하는 시술이 노화를 개선하거나 예방 치료하는 효과는 입증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심혈관 질환이나 알츠하이머 치매 등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21년 혈장 교환 치료를 일부 임상시험에서 제한적으로만 시도하도록 권고한 상태다.

조유경 동아닷컴 기자 polaris2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