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수족구병, 한 달 새 3배 증가…“증상 보이면 진료 받아야”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5월 19일 09시 51분


코멘트
뉴시스
만 6세 이하 영유아의 수족구병 의심환자 수가 한 달 전보다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질병관리청이 19일 공개한 전국 109개 의료기관의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9주차(5월 7~13일) 0~6세 수족구병 의심환자 의사환자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13.8명으로, 15주차(4월9~15일) 4명보다 3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계절적인 유행이 3년만에 나타난 데 이어 올해도 예년과 유사한 시기에 발생 증가가 확인된 것이다.

수족구병은 입 안, 손, 발에 수포성 발진이 나타나는 것이 주된 증상이다. 발열, 무력감, 식욕 감소, 설사나 구토 같은 위장관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대부분 증상 발생 후 7~10일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회복하지만 수막염, 뇌염, 심근염, 마비 증상 등 드물게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 받아야 한다.

수족구병은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예방 및 전파 차단이 중요하다.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어린이집, 키즈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이용을 자제해야 한다. 컵이나 식기 등을 따로 사용하고 생활공간을 분리하는 것도 필요하다.

손 씻기 등 철저한 위생 관리도 중요하다. 특히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는 장난감, 손잡이 등 손이 닿는 집기의 소독 관리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수족구병은 영유아에서 많이 발생하는 감염병인 만큼 키즈카페 등 영유아 관련 시설에서는 수족구병 예방 관리를 위해 손 씻기 및 물품 소독 등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며 “특히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는 수족구병에 걸린 경우 완전히 회복한 후 등원할 수 있도록 안내해 달라”고 당부했다.

수족구병 예방수칙
① 올바른 손 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 씻기
- 기저귀 뒤처리 후, 배변 후, 코를 풀거나 기침 후, 환자 돌본 후 손 씻기
- 특히 유치원, 어린이집 종사자 및 영유아 관련자는 각별히 신경 쓰기

② 올바른 기침예절
- 옷소매 위쪽이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기침하기

③ 철저한 환경관리
-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소독하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을 철저히 세탁하기

④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 받고 등원 및 외출 자제하기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