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안에서 덕수궁 들여다본다”…SKT, AR기술로 덕수궁 구현

  • 뉴스1
  • 입력 2020년 3월 24일 09시 05분


코멘트
SK텔레콤과 덕수궁은 함께 수천 여장의 항공사진과AR요소기술을 기반으로 덕수궁을 3차원 입체 표현한 ‘AR 덕수궁’을 시범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SK텔레콤 제공)© 뉴스1
SK텔레콤과 덕수궁은 함께 수천 여장의 항공사진과AR요소기술을 기반으로 덕수궁을 3차원 입체 표현한 ‘AR 덕수궁’을 시범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SK텔레콤 제공)© 뉴스1
고궁에 직접 가지 않아도 내 폰으로 덕수궁을 생생하게 들여다 볼 수 있다.

SK텔레콤은 증강현실(AR)기술을 기반으로 수천여장의 항공사진과 AR 요소 기술을 기반으로 덕수궁을 3차원 입체 표현한 ‘AR 덕수궁’을 시범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덕수궁의 전체 모습을 한눈에 현장감 있게 살펴볼 수 있도록 드론 및 여러 대의 카메라로 덕수궁 현장을 실사 촬영하고 ‘e스페이스’ 기술과 ‘사진측량기술’을 통해 현실과 동일한 가상의 3차원 덕수궁 공간모델을 생성했다.

e스페이스 기술이란 실제 공간을 드론 및 다수의 카메라로 스캔한 후 처리 작업을 통해 현실과 동일한 3차원 폴리곤(polygon)으로 구성된 3D 디지털 공간 모델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여기에 소요된 드론사진이 2000여장, 건물과 공간 구석구석을 담은 그라운드 사진이 7500여장 등 1만여장에 달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획득, 가공했다.

또 이용자들이 덕수궁을 스마트 폰에서 상하좌우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돌려보고, 가까이·멀리 시점을 달리해 볼 수 있도록 ‘고속실사 렌더링 기술’과 ‘공간분할 렌더링 기술’, ‘LOD렌더링 기술’도 채택했다.

AR 덕수궁은 SK텔레콤의 ‘점프 AR’앱에서 이용할 수 있다. 덕수궁 내 12개의 건물과 6만1205㎡에 달하는 공간을 내 손 위에 올려놓고 자유자재로 볼 수 있는 3차원(3D) AR 지도와 AR포토존 등을 제공한다.

전진수 SK텔레콤 전진수 5GX서비스사업본부장은 “AR 덕수궁은 고도의 공간인식과 트래킹기술을 활용해 방대한 양의 3D공간 데이터를 다양한 시야각에서 즐길 수 있도록 개발했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외출 자제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 어린이와 이용자들에게 문화유산을 활용한 유용한 콘텐츠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