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7000원에 집에서 살빼며 몸관리 가능”

  • Array
  • 입력 2010년 12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저비용 맞춤형 주치의, 보건소 건강관리서비스

《경기 양평군에 사는 주부 유선영 씨(35)는 올 5월 몸무게가 급작스레 늘면서 뱃살이 불어났다. 보건소를 찾아 체지방 검사를 받은 결과 결혼 전 50kg 안팎이던 몸무게는 63kg으로 늘었고 총콜레스테롤 수치는 dL당 254mg으로 나왔다. 보건소 진단팀은 유 씨에게 “고밀도 지단백(HDL)이 높으면 심혈관 질환에 걸릴 확률이 3배 높아진다”며 건강관리서비스를 받을 것을 권유했다.》

보건소를 찾은 한 중년 여성(왼쪽)이 건강관리서비스를 하는 간호사를 만나 검진 결과에 따른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 제공 송파구보건소
보건소를 찾은 한 중년 여성(왼쪽)이 건강관리서비스를 하는 간호사를 만나 검진 결과에 따른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 제공 송파구보건소
낮에는 직장에서 일하고, 밤에는 세 아이를 돌보는 유 씨는 건강을 관리할 짬이 없다는 이유로 망설였다.

유 씨의 마음을 돌린 것은 보건소에서 시범 실시하고 있는 건강관리서비스 바우처. 진단팀은 “한 달에 7000원씩의 본인 부담금을 내는 바우처를 구입하면 집에서도 살을 빼며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바우처 가격의 90%인 6만3000원은 국가 예산으로 지원한다는 것. 유 씨는 하루 쌀밥 섭취량을 3분의 1로 줄였다. 진단팀은 유 씨에게 신체활동 측정기를 주고 매일 걷기 운동을 하는지 점검했다. 유 씨가 운동을 하지 않는 날엔 진단팀이 유 씨를 불러 이유를 묻고 체지방을 다시 체크했다. 유 씨의 체지방이 두 달 만에 빠지기 시작하자 진단팀은 일주일에 한 번 유 씨를 보건소로 불러 영양조절로 부작용이 있는지 확인했다. 바우처 구입 후 6개월 만인 11월 유 씨의 몸무게는 53kg, 총콜레스테롤은 dL당 87mg으로 내려갔다.

○ 시간 들이지 않는 서비스

많은 사람이 시간 부족과 경제적 사정으로 건강관리에 엄두를 내지 못한다. 최근 시범 실시하는 건강관리서비스는 저렴한 데다 맞춤형이다. 올해 건강관리서비스 바우처 수혜자는 2000여 명이었다. 서비스를 제공한 곳은 서울 강동구 강북구 송파구, 경기 양평군, 대전, 전남보건소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16개 센터와 일부 시군구 보건소도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청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간호사 영양사 운동지도사가 음주 흡연 과식 등 잘못된 생활습관을 바꾸는 프로그램을 짜고 신청자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도록 도와준다. 신청자의 혈압 체지방 기초대사량 혈당 등을 진단한 결과 건강상태가 좋으면 ‘건강군’으로 관리한다. 위험 요인을 발견하면 ‘건강주의군’으로 분류해 개인에게 적합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질병이 확인되면 의료기관으로 보낸다.


서울과 경기지역에서는 신청자 집에서 체지방 기초대사량을 확인할 수 있는 측정계와 진단계를 빌려준다. 서비스 기관이 제공하는 체성분 분석계는 체지방 기초대사량 내장지방 수준 등을 알려준다. 외형이 만보계를 닮은 3D신체활동계는 칼로리 소비량을 즉석에서 보여준다. 3D신체활동계는 칼로리를 소비해야 할 사람이 움직이지 않으면 자동으로 꺼진다. 보건소 상담원들은 신청자가 움직이지 않거나 건강의 적신호가 나타나면 바로 문자메시지를 보내거나 전화를 건다. 서비스 수혜자들은 “건강관리를 위해 특별히 시간을 투자하지 않는 것이 최대의 장점”이라고 입을 모았다.

○ 만성질환 진료비 급증, 국민 78%가 위험군

회사원 오모 씨(33)는 최근 건강검진 결과 혈당수치가 dL당 102mg으로 정상범위 70∼99mg을 넘자 운동 및 식이요법으로 정기적인 당뇨 관리가 필요하다는 소견을 받았다. 검진 이후 당뇨 관리를 받고자 했지만 곧 포기했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건강관리 상담을 받을 곳이 없었기 때문이다. 오 씨처럼 건강검진을 받지만 죽을 병이 아니면 건강관리서비스와 같은 사후관리는 소홀히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결과 만성질환을 앓는 고령층의 의료비가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2009 건강보험 주요 통계’에서 인구의 10%인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는 12조3458억 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31.4%를 차지했다. 2001년 노인 진료비 비율은 17.8%였다. 이러한 국민의료비의 증가는 건강보험재정에 부담으로 돌아가 결국 피해도 보험 가입자인 국민에게 돌아간다.

또 보건복지부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국민 78%가 비만,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같은 질환을 앓고 있거나 관련 위험요인을 하나 이상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만성질환을 예방하면 국민 의료비 증가 추이가 둔화되고 개개인의 삶의 질도 더 나아질 것으로 보고 건강관리서비스법을 국회에 제출했다. 한국보다 고령화 사회인 일본은 같은 이유로 2008년 건강관리서비스 제도를 도입했다.

하지만 야당 및 시민단체들은 이를 의료민영화 법안으로 보고 반대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국회 법안 심의 과정에서 야당과 시민단체가 제기한 우려를 보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위용 기자 viyonz@donga.com



▲동영상=‘신의 밥상’ 신동엽 “내 건강비결은 아내가 챙겨주는 마늘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