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 살리는 과학벨트]“기초과학연구기관 없이 노벨상 없다”

  • Array
  • 입력 2010년 11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조성 사업은 단군 이래 최대 기초과학 진흥 프로젝트로 불린다. 기초과학 도약을 갈망해온 과학자들에게 연구 의지를 불어넣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노벨 과학상 수상의 첫 영예를 안겨줄 연구와 그 주인공이 과학벨트에 들어설 기초과학연구원에서 나올 것이란 기대도 크다. 과학벨트 특별법 통과를 앞두고 향후 우리나라 노벨 과학상 명당으로 자리 잡을 기초과학연구원의 미래를 5회에 걸쳐 소개한다.》

4일 열린 ‘노벨 과학상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포럼에서 국회가 과학벨트 특별법을 하루빨리 통과시켜 우리나라 기초과학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 제공 KISTEP
4일 열린 ‘노벨 과학상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포럼에서 국회가 과학벨트 특별법을 하루빨리 통과시켜 우리나라 기초과학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 제공 KISTEP
“1990년대만 해도 미국 영국 독일이 노벨 과학상을 휩쓸었습니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미국 영국 일본의 3강 구도로 바뀌었습니다. 일본 정부가 2050년까지 노벨 과학상 수상자 50명을 배출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기초과학에 꾸준히 투자해왔기 때문입니다.”

4일 서울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열린 ‘노벨 과학상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포럼에서 박구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정책기획본부장은 “일본 약진의 중심에는 기초과학 종합연구기관인 이화학연구소(RIKEN)가 있다”고 말했다. 일본이 배출한 노벨 과학상 수상자는 14명. 이 중 5명이 이화학연구소 출신이다.

금종해 고등과학원 부원장은 노벨 과학상에서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는 미국에 대해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나 로런스버클리국립연구소 등 대형 국공립 연구소가 미국의 기초과학을 지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로런스버클리국립연구소의 경우 연구인력만 5000여 명에 이르며 예산은 6억5200만 달러(약 7200억 원) 정도다.

이날 포럼에서는 한국에도 노벨 과학상 배출의 산실이 될 기초과학연구기관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현재 유럽연합(EU)을 제외한 주요 20개국(G20)의 19개 국가 가운데 노벨 과학상 수상 경험이 없는 나라는 한국을 포함해 멕시코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터키 등 6개국뿐이다. 이종섭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전 전국자연과학대학장협의회장)는 “과학벨트 안에 들어설 기초과학연구원이 한국의 기초과학 연구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려 우리에게 첫 노벨 과학상을 안겨줄 터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과학벨트 특별법이 지난해 2월 이후 21개월가량 국회에 계류 중이라는 것이다. 법이 통과되지 않을 경우 기초과학연구원 설립은 없던 일이 된다. 한국의 기초과학 진흥 계획에도 차질이 생긴다. 무엇보다 과학자들의 사기는 그 어느 때보다 떨어질 것이다.

정부는 이번 정기국회 기간에 특별법을 통과시킨다는 목표로 최근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청와대는 과학벨트 조성이 이명박 대통령의 3대 공약 내용 중 하나인 만큼 관철하겠다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진석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은 이상민 의원(자유선진당) 등 입지 선정을 놓고 마찰을 빚고 있는 야당 의원 설득에 직접 나섰다.

편경범 교육과학기술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추진지원단장은 “추진단은 내년 4월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하게 돼 있다”면서 “올해 안에 법안이 통과되지 않을 경우 과학벨트 안에 들어설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를 분리해 별도 연구개발(R&D) 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과학벨트 특별법은 17일로 예정된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시작으로 통과 수순을 밟게 된다.

이현경 동아사이언스 기자 uneasy7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