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카페]‘한국경제 사막화’ 경고 무시할 수 없는 까닭

  • Array
  • 입력 2012년 10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장강명 산업부 기자
장강명 산업부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5일 ‘한국경제의 사막화가 우려되는 7가지 징후’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냈다. ‘우리 경제가 사막화되고 있다!’는 자극적인 제목의 보도자료도 배포했다. 전경련은 이 보고서에서 “한국 경제의 생태계 기능이 점차 훼손되면서 경제 전반의 생산력이 감소하는 ‘경제 사막화 현상’에 직면해 있다”고 주장했다.

‘사막화’라는 비유는 이런 뜻인 것 같다. 경제 생태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면 그 안의 경제 주체들인 영세 중소기업과 저소득층 가계부터 서서히 말라죽을 것이다. 그리고 점차 대기업과 중산층도 무너지게 된다. 그렇게 한 번 경제 환경이 말라버리고 나면 그 다음에는 여간 애를 써도 새로운 기업이 생겨나지 못하고 중산층도 복원되기 어려울 것이다.

‘이렇게까지 겁주는 용어를 동원할 필요가 있나’ 싶지만 전경련이 든 근거들이 허황된 것은 아니어서 ‘경제의 사막화’라는 우울한 예상도 간단히 부인하기가 어렵다.

전경련이 든 근거들은 이렇다. 우선 우리 경제의 ‘성장 엔진’이 꺼져서 잠재성장률이 추락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쓰고 싶어도 쓸 돈이 없는 데다 그나마 여력이 있는 사람들은 지갑을 닫아 민간소비가 점점 줄어들고 내수가 위축되고 있다. 이러다 보니 돈은 점점 돌지 않는데, 그 와중에 고령화가 진행돼 일할 사람이 줄어들고 있다. 허덕이는 영세 중소기업과 잘나가는 대기업 간 기업생태계의 불균형은 점점 커지고 있어 여론은 점점 대기업에 부정적이 되어간다. 국가 채무가 늘어 나랏돈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줄어들고 있다.

여기에 한국의 잠재성장률 하락 속도, 통화 유통 속도, 취업자 평균연령, 국가채무 규모와 같은 구체적인 수치를 곁들이면 ‘사막화’를 극단적인 비관주의라고 치부할 수만은 없게 된다.

물론 이 지경에 이른 데는 여러 요인이 맞물려 있다. 무엇이 원인이고, 무엇이 결과라고 딱 잘라 말하기 힘들다. 땅이 말라 숲이 사라지고, 숲이 사라지니 땅이 더 빨리 마르는 것과 비슷하다.

한국경제가 좋은 기후대를 벗어난 것은 분명한 듯하고, 비구름이 오기만을 기다릴 상황도 아닌 것 같다. 경기를 부양해 내수(內需)를 일으키거나, 정부가 소상공인을 보호하는 식으로 기업 간 불균형에 개입하거나, ‘일하는 노인’ 문화를 확산시키는 것은 모두 ‘사막화 방지 사업’에 해당한다. 전경련은 그중 가장 돈이 덜 들고 효과가 큰 도구로 ‘기업 투자를 촉진하는 정책을 쓰는 것’을 들었다.

장강명 산업부 기자 tesomiom@donga.com
#한국경제#사막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